- 연대방식 전략공천·후보단일화·무공천 등
[일요서울ㅣ홍준철 기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총선을 코앞에 두고 제안한 ‘야권통합’은 현실화 되기에는 어렵다는 게 야권 내 일반적인 분석이다. YS·DJ·JP 3김정치 이후 매번 선거때마나 야권이 내놓은 식상한 선거전략이고 무엇보다 수많은 정치신인들이 최소 몇 년 전부터 자비를 들여 선거 운동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유권자는 양당 체제의 덫으로 ‘더 좋은 후보’를 뽑는 것이 아닌 ‘덜 나쁜 후보를 뽑아달라’는 야권의 협박 정치에 시달려왔다. 하지만 2002년 대선 이후 크고 작은 선거에서 더이상 국민들에게 감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역대 선거결과가 반증하고 있다.
하지만 당대당 통합이 힘들 경우 수도권에서만이라도 후보단일화를 이뤄야 한다는 야권 내 주장에 명분이 실리고 있다. 현재 공직자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수도권 의석수는 기존 112석에서 122석으로 10석이 늘어났다. 수도권은 조직보다 중앙 바람이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가 안심할 수 없어 20대 총선 최대 승부처로 부상했다.
야권 내 합리적 인사들을 중심으로 수도권 필승론을 위한 선거연합 내지 연대 주장이 나오고 있는 배경이다. 일단 첫 번째 선거연대 방식으로 전략공천을 들고 있다. 서울 관악갑처럼 1여다야 구도로 나와도 당선이 가능한 지역을 제외하고 인지도나 지지도에서 압도적으로 상대 후보를 이기는 지역을 중심으로 양당이 전략공천을 통해 유력 주자를 단일 후보로 정리하자는 방안이다.
두 번째 안은 후보단일화다. 이는 여당 후보가 1여다야 속에서는 우세한 지역이지만 야당 후보 간 단일화할 경우 승리가 확실한 지역을 중심으로 여론조사나 담판을 통해 결정하는 방식이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합의할 경우 다수의 수도권 지역이 이 방식을 택할 공산이 높다.
마지막으로 야권 내 대선주자급 인사나 덕망 있는 중진, 외부에서 영입한 스타급 인사들이 출마하는 지역은 상대측에서 ‘배려’해 후보를 내지 않는 ‘무공천’ 방식이 있다. 이럴 경우 당대당 통합을 하지 않고서 여야 간 일대일 양강구도를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전제조건은 양당 지도부뿐만 아니라 출마한 후보자들의 무한한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한다는 점이 넘어야 할 산이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