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류제성 언론인] 경제부총리직을 마치고 여의도로 복귀한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경산-청도)은 친박계와 TK 정치권을 동시에 대표한다. 그에겐 단계별로 두 가지 큰 임무가 사실상 부여돼 있다.
첫째는 4·13 총선에서 한 명이라도 더 많이 친박계 후보를 공천해 박근혜 정부 임기 후반에 국회의 친위세력을 확보하는 역할이다. 그가 여당의 공천구도를 짜며 교통정리를 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중심에 서 있다는 관측이 많다.
최 의원은 그 첫 단계로 여의도 정치에 복귀하자마자 의원들을 집단별로 꾸준히 만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그의 핵심 측근은 “여의도를 떠나 정부에서 일한 지 꽤 됐기 때문에 우선 사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며 “동료 의원들을 만나는 건 자연스런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총선 전까지는 당직을 맡지 않고 ‘백의종군’ 하기로 했다. 최 의원은 “평의원으로서 당의 총선 승리와 대구·경북 지역의 승리를 위해 백의종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에 보폭을 맞추는 언행은 이미 시작했다. 최근 박 대통령의 ‘국회 심판론’에 힘을 싣는 발언을 한 일이 대표적이다.
최 의원은 1월 25일 대구·경북 언론과의 기자간담회에서 “나를 포함해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은 철저한 반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유권자들이 지난 대선에서 ‘80-80’(투표율 80%, 득표율 80%)으로 박 대통령을 뽑은 것은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이 대통령을 잘 보좌해서 성공한 대통령을 만들라는 미션(임무)을 준 것인데 그에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이었다.
대구에서 일고 있는 ‘진박’(진실한 친박) 논란에 대해선 “진박이니 진박 감별사니 하는 부분은 작은 과정에 불과하다. 박 대통령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만드는 것이 본질이다. 이런 큰 흐름이 조명돼야 한다. 이런 부분은 빼고 진박만 부각시키는 것은 본질을 흐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 등 친박 핵심에서 주장하는 ‘TK 물갈이론’에 동조한 셈이다.
최 의원의 두 번째 단계 미션은 총선 후에 시작된다. 새누리당 선거에서 승리하든 패배하든 ‘김무성 대항세력’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최 의원이 오는 7월에 실시되는 전당대회를 통한 당권장악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7월에 출범하는 당 지도부는 임기가 2018년 7월까지이므로 2017년 8월쯤으로 예상되는 대선후보 경선을 관리하게 된다. 아무래도 최경환 대표 체제가 들어설 경우 김무성 대표에겐 불리하다.
뿐만 아니라 최 의원이 직접 ‘김무성 대항마’를 물색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친박계에서 연기를 피웠던 일을 실행하는 데 앞장서게 된다. 또 정치권 일각에서 거론되는 ‘충청-TK 연합론’을 구체화 시키는 작업에 나설 수도 있다.
ilyo@ilyoseoul.co.kr
류제성 언론인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