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진규: 흙을 구운 조각가>
사실적 묘사를 중시하는 그의 작품세계는 추상적인 사조가 주류였던 한국의 미술계와 갈등을 빚어왔다. 어려서부터 병약했던 그는 화랑계와 갈등으로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하다가 말년에 수전증까지 찾아오자 1973년 5월4일 작업실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시대와 타협하지 못한 고독한 조각가였던 그는 흙을 빚어 구워내는 테라코타 작품과 한국전통의 건칠기법으로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만들었다. 부드러운 흙으로 사람의 얼굴을 빚고, 단단한 화강암으로 사랑스런 동물을 만들며 옛것을 통해 새로움을 찾아냈다. 다소 생소할지 모를 이름이지만 현대 조각사를 빛낸 인물이다.
< 김홍도 : 조선을 그린 화가 >
화폭에 담은 그림뿐만 아니라 음악·서예·시조에도 뛰어났던 화가였다. 비록 양반이 아닌 중인의 신분으로 태어나 넉넉한 삶을 살진 못했지만 진정한 예술가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의 대표작인 『단원풍속화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527호)을 비롯해서 『금강사군첩』(개인 소장)·「무이귀도도」(간송미술관 소장)·「선인기려도」·「단원도」(개인 소장)와 「섭우도」·「기노세련계도」·『단원화첩』(삼성미술관 소장)·「마상청앵도」 등을 이 책에서 볼 수 있다.
< 오윤 : 희망을 새긴 판화가>
김정아 기자 jakk3645@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