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코레일 국정감사에서 유선호 민주당 의원은 “현대로템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당초 12개월로 약정된 시운전기간 중 제작사측인 현대로템이 8개월, 공사 측의 길들이기 시운전 2개월 등 총 10개월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또 “615회의 실제 시운전 중 582회는 야간에만 시운전하는 등 KTX-산천의 안정성 확보가 매우 미흡했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KTX-산천 제작 후 본선 시운전 시 기존 KTX-1의 영업활동으로 시운전 노선을 확보할 수 없는 상태로, KTX-1의 영업이 끝나는 오후 10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5시 30분까지 야간에만 시운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간 시험도 영업운행 차량과 동일운행으로 진행돼 제대로 된 성능시험을 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은 “KTX-1이 이미 영업 중이고 별도 시험노선을 갖지 못한 상태라면 시운전기간을 늘려서라도 야간 및 주간운전을 충분히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고속철의 조속한 도입을 희망한 철도공사의 조급증이 이런 상황을 만들었고 결국 KTX-산천의 차량고장 다발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유 의원은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프랑스 TGV 모델을 개량한 KTX-1의 경우 초도편성 시운전 완료시점까지 총 63.5개월이 걸렸고 간선형 전동차의 계약납기 기간이 33개월인 점을 비춰보면 KTX-산천의 제작기간이 얼마나 짧은지 알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은서 기자 choies@dailypot.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