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류제성 언론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위기의 남자’로 추락하고 있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도입을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덜컥 잠정합의한 후폭풍으로 청와대의 직격탄을 맞아 고개를 숙였다. 이번 일이 있기 전에도 ‘김무성 흔들기’로 감지되는 여러 가지 의혹들이 제기됐다. 특히 사위의 마약 재판 영향설, 차녀 수원대 교수 특혜 임용설, 선친 친일논란, 본인 병역 문제는 ‘4대 의혹’으로 꼽히면서 대권가도를 달리는 내내 발목을 잡게 될 전망이다.
사위가 마약사범으로 수사와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김 대표가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위의 형량(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이 통상적인 판결 수준보다 낮다는 지적 때문이다.
하지만 정황상 김 대표가 검찰이나 법원에 부탁을 했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김 대표의 한 측근은 “사위가 마약복용 혐의로 수사와 재판을 받을 때는 둘째 딸과 결혼하기 전이다. 딸의 남자 친구가 마약사범으로 수사를 받는데 여당 대표가 부탁을 했다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은 일 아니냐”고 반박했다.
시민사회단체인 참여연대는 김 대표가 자신의 딸을 수원대 전임교원으로 채용하는 대가로 이인수 수원대 총장을 2013년 국회 국정감사 증인에서 제외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참여연대는 지난해 6월 수뢰 후 부정처사 등 혐의로 김 대표를 검찰에 고발했다. 그러나 서울중앙지검 형사4부는 이 총장 등을 조사한 뒤 “고발인의 주장과 특혜 의혹이 사실이라고 볼 만한 증거자료를 찾을 수 없다”며 지난해 11월 무혐의 처리했다.
당시 김 대표도 서면 조사를 받았다. 김 대표는 지난 4월2일 안진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과 배재흠 수원대 교수협의회 대표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의혹의 당사자인 딸은 마약사범으로 사법처리된 사위의 부인이다.
김 대표의 부친 김용주 씨(1905~1985)가 일제강점기에 비행기 군납 운동을 주도했다는 주장도 제기돼 있다. ‘한겨레신문’이 꾸준히 이 문제를 들춰내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도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열어 “김용주 씨는 당시 조선임전보국단 경상북도지부와 국민총력경상북도수산연맹이 비행기 헌납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할 당시 상임이사와 이사 등을 지냈다. 아사히신문에 비행기 헌납 광고를 실명으로 게재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 측은 “이미 한겨레신문에서 정정보도와 반론보도를 한 사안”이라고 해명한다. 일제 강점기에 대부분의 지도층 인사들이 친일과 애국의 행적을 번갈아 할 수밖에 없었다는 상황논리도 내세우고 있다. 김 대표 진영에선 선친의 친일 논란에 대해 반박 자료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김 대표 본인의 병역 문제도 일각에서 꾸준히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군 복무 중에 대학을 졸업한 것으로 기록에 나와 있는 까닭이다. 김 대표는 1971년에 한양대학에 입학해 1975년에 졸업했는데, 1974년 4월부터 1975년 6월까지 군복무를 한 것으로 돼 있다. 지난해 7월 새누리당 당 대표 경선 때도 이 문제가 거론됐다. 당시 새누리당 대학생위원회는 “병역법을 위반했거나, 아니면 허위학력이거나 둘 중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이에 김 대표는 “오래전 일로, 그 당시 허용됐던 일이다. 반응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인 바 있다.
ilyo@ilyoseoul.co.kr
류제성 언론인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