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히는 식민시대 피해 사실 민·관 제대로 알려야
묻히는 식민시대 피해 사실 민·관 제대로 알려야
  • 김현지 기자
  • 입력 2015-09-21 09:49
  • 승인 2015.09.21 09:49
  • 호수 1116
  • 27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日 강제징용 유네스코 등재 추진…한국 대응은?

[일요서울 | 김현지 기자]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은 12일 방영 이후 시청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배달의 무도’ 특집으로 꾸며진 당시 회에서 ‘하시마 섬’이 방송을 탔다. 하시마 섬은 일본 나가사키 시에 있는 무인도로, 일제강점기 당시 한국인들을 강제 징용해 노동력을 수탈했던 주요 장소 중 하나다. 일명 ‘지옥섬’이라고도 불린다.


당시 방송은 최근 일본이 보이고 있는 ‘과거사 지우기’ 행보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현지 관광안내원은 섬에 입도한 출연진들에게 탄광도시로 호황을 누렸던 사실만 강조했다. 강제징용 등 일본이 만행을 저지른 역사적인 사실을 언급하지 않은 모습이 방송을 탔고, 이는 시청자들의 공분을 샀던 것이다.


일본은 세계문화유산(유네스코)에 강제노역시설을 비롯한 산업시설을 등재 신청하며, ‘조선인 강제 징용 사실’도 함께 알리기로 한국과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오히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독주는 멈출 줄 모르고 있다. 16일(현지시각) 아베 총리가 참의원 평화안전법제 특별위원회에서 안보법을 통과시키기 위한 행보를 보였다. 이 법안의 내용은 일본 자위대의 역할과 활동 반경을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법안이 성립되면 일본의 전후 안보 체제가 확연히 달라진다. 일본이 공격당하지 않아도 자위대가 해외에서 무력을 행사할 수 있다. 적극적인 안보 태세로 전환하는 조치라는 점에서, 안보법을 둘러싸고 주변국들의 반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아베의 독선에 한국정부가 제재를 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일본 정부의 이중적 태도가 도마에 올랐다. 아베 정권은 미국과 중국의 강제노역 피해자들에게 사과와 보상을 했다. 하지만 한국 피해자들에게는 어떠한 사과와 보상도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하며 약속한 바를 전혀 지키지 않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가 칼을 빼들었다. 지난달 31일 마감된 문화재청의 ‘2016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 기록물 공모’에 접수된 후보 중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33만6797’건 중 하나가 포함된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이들 기록물은 2004년부터 11년간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위원장 박인환)가 수집한 것으로, 전쟁 피해에 대한 공식 기록물이다. 일제가 직접 생산한 문서도 이중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 달까지 문화재위원회는 세계유산 등재후보로 2개를 선정하고 내년 3월까지 최종 후보를 선정해 유네스코에 제출할 계획이다.


정부의 대응과 더불어 민간 측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일제강제동원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운동본부’가 시민사회·학계 등 각계 인사 100여 명이 모여 출범식을 개최한 바 있다. 또한 광복 70주년을 맞아 2차 대전 당시 일본으로 끌려가 강제 노동을 했던 희생자 유골 115위가 고국으로 돌아온다. 이 역시 민간단체인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및 유골 귀향 추진위원회’의 역할 덕이다.


일각에선 일본의 과거사 반성 없는 만행에 정부의 대응이 더욱 강경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민간의 관심과 역할 등 ‘과거사 바로잡기’를 위한 행보에 더욱 속도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yon88@ilyoseoul.co.kr

김현지 기자 yon88@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