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김종현 기자] 상주시가 최근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 유치를 무산시킨 것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들이 재유치를 희망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예상된다. 더욱이 상주시에 대해 손해배상청구소속을 제기한 한국타이어 측도 상주시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나서 양측의 갈등은 더욱 확산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타이어측은 지난 21일 상주시의 주장을 조목조목 짚으며 시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나섰다.
이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우선 경북도와 상주시가 각각 200억 원과 65억 원의 재정지원을 하지만 2020년 한국타이어 준공 이후 고작 10억 원 정도의 지방세 수입만 들어온다는 시의 주장에 대해 상주시가 경제효과의 기본을 모른다며 강하게 질타했다.
현재 상주에서 가장 많은 지방세를 내는 기업은 연간 1억5000만 원을 내고 있다. 반면 한국타이어는 이보다 최소 7배 이상 많은 지방세를 납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주시가 10억 원이 소액이라고 말하는 것은 10억 원 이상 납세자를 폄하하는 경우라고 지적했다.
또 한국타이어는 상주에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과 연구단지가 들어서면 자연히 차 부품업체들이 따라 들어오게 되는 데 이 기업들의 지방세 수입도 상주시는 간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인구가 늘어나지 않는 다는 시의 주장에 대해 한국타이어 측은 “주행시험장 내에 생활관 건립 등을 통해 임직원들이 상주할 것이라는 약속의 공문을 보냈는데도 상주시가 이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면서 “한국타이어로 인해 차 부품 산업단지가 동반 성장하게 돼 이곳 근로자들이 상주시민으로 들어오게 되는 선순환 구조도 상주시가 외면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상주시가 기존 예정부지 말고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게 낮다는 주장에 대해 “상주시가 옮기라고 하는 곳은 더 큰 민원 발생 위험이 있는 등 상주시가 대안으로 내세운 지역은 사실상 이전이 힘든 지역이다. 상주시는 대안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기업 유치를 안 하겠다는 핑계만 댄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국타이어는 또 “반대하는 주민을 설득하는 것은 통상 기업을 유치하는 지차체가 나서지만 한국타이어는 주민설명회 및 금산공장 초정, 무공해 공단 조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협희체 구성 등 기업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고 입장을 전했다.
이에 관해 개인택시 상주지부, 한국외식업 상주지부 등 상주지역 15개 단체들은 지난 18일 생협 상주센터에서 재유치 모임을 갖고 호소문을 통해 “한국타이어가 상주로 꼭 와야 한다”며 시가 결정을 바꾸기를 호소했다.
한편 상주시는 1년 동안 한국타이어에 대해 행정지원을 하다가 경북도와 사전 협의 없이 지난해 9월 23일 토지보상지원 중단, 및 지원 인력 철수 등 행정 조치를 내리면서 사실상 유치를 무산시켰다.
앞서 이정백 현 시장은 지난해 6·4 지방선거에서 환경파괴와 주민 반대·경제효과 미흡 등을 이유로 재검토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이에 대해 한국타이어 측은 2500억 원 가량 투자하려던 국내최대 규모의 주행시험장 및 연구기지 조성이 어렵게 되자 상주시를 상대로 21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todida@ilyoseoul.co.kr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