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한탄ㆍ임진강 지질공원 관리계획 연구용역 착수
포천시, 한탄ㆍ임진강 지질공원 관리계획 연구용역 착수
  • 수도권 강의석 기자
  • 입력 2015-04-27 16:56
  • 승인 2015.04.27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수도권 강의석 기자] 경기도 포천시는 지난 24일 시정회의실에서 한탄·임진강 국가지질공원 관리계획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착수보고회에는 이광춘 상지대 명예교수, 우경식 강원대 교수, 경상대 손영관 교수 등 지질관계 전문위원 10명과 최익규 포천시 총무국장, 이세우 경기도 공원녹지과장, 홍혜숙 연천군 전략사업실장 등 관계 공무원이 참석했다.

국가지질공원은 공원 면적 100이상, 지질명소 수 20개소 이상, 지질공원 평가표의 각 항목별 배점의 50%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한탄강은 발원지(북한 평강의 오리산과 680m 고지)부터 임진강과 합수되는 연천의 도감포까지 약 140km의 유역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협곡마다 기암절벽과 하식애, 하식동굴과 같은 지질학적 특징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지질공원 후보지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포천시와 연천군은 금년 안에 한탄강(임진강 포함) 지역을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을 목표로 지난 201412월 상호협약을 맺은 바 있다.

아울러 포천지역 12개의 지질명소와 연천지역 9개의 지질명소를 포함, 21개의 지질명소 약 750정도를 한탄 임진강 지질공원으로 금년 말까지 신청할 계획이다.

그 동안 포천시는 명승2개소, 천연기념물 3개소 등 5개의 국가문화재 지정, 한탄강 문화재 학술조사 연구용역 등 한탄강 관련 용역 2, 포천 한탄강 워크숍 3, 한탄강 자연유산 및 유물 특별전 개최, 지질공원 방문자센터 개원(대회산리), 지질공원해설사 양성, 지질명소별 주변지역정비사업 실시, 지질공원 관련 5개의 협약을 추진하고 한탄강 생생문화재 활용사업과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구과학 현장학습 등 실질적인 지질답사 프로그램까지 실시하고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모범적인 지질공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이번 용역을 통해 지질공원으로 인증되면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며, 국가 브랜드네임 획득, 수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현장학습 프로그램 활성화 및 지역관광 활성화와 함께 지역주민 소득창출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kasa59@ilyoseoul.co.kr

수도권 강의석 기자 kasa59@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