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아는 대박 정보는 존재할 수 없다”
주식투자자들은 흔히 투자의 왕도를 궁금해 한다. 각종 투자설명회에 빠지지 않고 참석하고 유명 투자분석가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보기도 한다. 그렇게 열심을 보이지만 결론은 늘 뭔가 뜬구름 잡는 식이거나 애매하다는 것이다. 이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것이 옳은 것도 같고 저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면 또 저것이 합당한 것 같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갈피를 잡기 어렵고 더러는 지치기 마련이다.
끊임없는 공부와 분석으로 통찰력 높여야
나만의 방식으로 나만의 포트폴리오 작성
주식시장에 뛰어든 사람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어떤 종목이 좋은가”이다. 투자자 모임에서든 동호회 모임에서든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최종적인 질문은 바로 그것으로 단 한차례의 예외도 없이 한결같다. 그 질문에는 숨겨진 것이 있는데, ‘남들은 모르는 정보', '절대 하락하지 않고 오로지 상승만 할 종목'이라는 전제가 그것이다. 혼자만 대박 날 정보를 원한다는 것이고 실망스럽겠지만 내부거래자가 아닌 한 그런 정보는 없다는 것이 결론이다.
그러나 대개 대박 정보를 찾는 사람들은 공부를 하지 않으며 퍽 무모하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차트를 이야기하고 추세를 입에 달고 있지만 그것은 스스로 공부하고 깨달은 것이 아닌 어깨너머 주워들은 것일 따름이다. 조금 더 나아가면 책 몇 권에서 얻은 얕은 지식이 전부이다. 서점에 차고 넘치는 주식투자와 관련한 책 몇 권 읽었다고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면 세상에는 온통 주식투자 성공사례가 넘쳐나야 마땅하다.
그럴듯한 제목을 달고 투자자를 유혹하는 책들은 시장의 어떤 일면이 강조된 것으로 결코 시장 전체를 포괄하지 못한다. 일반화의 오류인 셈이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공부가 얕은 투자자들은 무모하다는 특징을 함께 갖는다. 공부가 하기 싫어 무모한 행동에 몸을 맡기는 것인지 몸에 밴 무모한 행태가 공부 자체를 등한시 하도록 한 것인지 인과관계는 정확하지 않지만 어쨌든 한 배에서 나온 쌍둥이처럼 이 둘은 함께 간다.
우연히 모임에서 얻어들은 정보나 가십처럼 흘러나온 이야기에 혹해서 무리한 투자를 감행한다거나 어떠한 과학적 근거나 객관적 검증도 없는 허황된 이야기를 듣고 이를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여 투자에 나서는 식이다.
하지만 시장은 도도하게 흐르는 강물과도 같다. 강물은 얼핏보아 사계절 내내 같은 모양으로 보이지만 멀리 상류의 사정과 주변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상류에 비가 많이 내릴 경우 강물은 불어나기도 하고 계절에 따라 유량과 유속이 달라진다. 시장 또한 거시적인 국면과 미시적 상황에 끊임없이 영향을 받는다.
달러화의 강약, 원유가의 등락, 국제정세 등 전지구적 차원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등락한다. 미시적으로는 국내의 경제적 형편은 말할 것도 없고 각 업종별, 경제주체별 동향 등 온갖 변수에 의하여 출렁인다. 지금 발밑을 흘러가는 이 강물이 어제의 그 강물이 아니듯 오늘 펼쳐지는 장세는 과거의 그것과 흡사해 보이지만 사뭇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결과이며 따라서 내일은 또 과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될 것이다. 이를 꿰뚫어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부단히 공부하고 그 공부를 바탕으로 현재의 상황을 깊이 있게 통찰하는 것이다.
또 그렇기 때문에 주식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포트폴리오다. 모든 선택은 선택하는 이의 세계관과 역사관을 오롯이 반영한다. 인생을 걸 정도의 무거운 결정이든 애프터쉐이브를 고르는 간단한 결정이든 이제까지 보고 배운 모든 지식과 살아오면서 겪은 온갖 경험에 기반한 최종선택이다. 모든 선택은 결국 세계관이며 그 선택이 모여 인간의 전 생애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투자자에게 있어서 포트폴리오는 그가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과 가치관이 녹아 든 총체적인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자동차 업종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을 유지하면서 스스로 자동차종목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경우는 없고 그 반대의 경우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포트폴리오는 시장을 상대로 전사의 작전계획서이기도 하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뒤 작성표를 만들 때 예상 매도가와 손절가, 매매이유 등을 별개의 항목으로 집어넣는 것은 바로 포트폴리오가 작전계획서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작성을 소홀히 하고 또 어려워하며 회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아무 작전계획도 없이 전투에 나서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포트폴리오는 어떤 식으로 구성해야 할까. 개인이 처한 상황이나 입장, 투자금의 규모 등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일반적으로는 5개 미만의 종목으로 구성하되 대형우량주의 비중이 더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개 이상을 넘어서면 관심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 신속한 대응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중소형주 위주의 포트폴리오는 변동성이 심해 리스크 관리가 어려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것도 어렵다면 대한민국 증권시장 자체에 투자하는 것도 훌륭한 방법이다. ETF와 같은 상장지수펀드인데, 증시의 대표적인 우량주의 지수 자체로 구성된 파생상품으로 사실상 우리 증시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 포트폴리오 구성이 어렵다면 증권사 지점을 방문해 상담을 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좋은 땅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부지런히 발품을 팔며 부동산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듯 증권사를 통하여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추천받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각 증권사리서치센터는 최고의 인재들이 최상의 정보로 무장하고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 정보를 비판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프랑스의 유명한 미식평론가인 브리야 샤바랭는 그의 책 미식예찬에서 “당신이 무엇을 먹는지 말해주면 나는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주겠다”고 말한다. 마찬가지 관점에서 우리는 “당신의 포트폴리오를 보여주면 나는 당신이 시장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말해주겠다”고 말할 수도 있다. 투자자라면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미루지 말고 꼭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업이다.
hwihols@ilyoseoul.co.kr
전진오 굿세이닷컴 대표 ilyo@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