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 2014 사회조사 결과 발표
경기도 , 2014 사회조사 결과 발표
  • 수도권 강의석 기자
  • 입력 2015-03-23 13:44
  • 승인 2015.03.23 13: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수도권 강의석 기자] 경기도에 거주하는 40대 가운데 76.4%가 경기도를 고향으로 생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경기도 거주자는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민이 많아 애향심이 부족하다는 통념을 뒤집는 것이어서 시선을 끈다.

23일 경기도가 발표한 2014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에서 태어나지 않았으나 고향 같다고 응답한 40대는 59.4%였으며, 경기도가 고향인 40대는 17.0%로 모두 76.4%40대가 경기도를 고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40대의 65.3%는 앞으로도 계속 경기도에 거주하고 싶다고 응답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기도 했다.

40대 도민의 77.4%가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40대 인구 10명 중 8명이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10명 미만인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40대가 48.8%로 가장 많았으며, 10~100명 미만이 32.7%, 100~500명 미만이 10.0%, 500명 이상이 8.5%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체가 21.1%로 가장 많았으며 도매·소매업이 15.1%, 건설업·교육서비업이 각각 8.2% 순으로 조사됐다. 남여 모두 제조업체에서 가장 많이 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근로자가 74.1%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주는 22.3%, 무급가족종사자는 3.6% 순이었다.

직업을 선택할 때는 안정성(29.5%)보다는 수입(31.1%)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가 지원했으면 하는 분야로는 35.1%가 일자리 발굴사업, 29.9%가 취업알선, 14.3%가 창업 지원 등을 원했다.

호주 또는 세대주와는 다른 개념으로 가정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생계책임자를 나타내는 가구주 조사결과 경기도 40대는 66.8%가 아파트에서, 19.5%가 단독주택, 13.7%가 연립·다세대주택 등에서 살고 있다. 52.9%가 자기 소유의 집이며, 전세가 25.6%, 월세가 19.9% 순이었다.

면적별로는 소형주택인 66(20평형) 미만이 45.7%, 66~99(20~30평형)37.5%, 99(30평형) 이상이 16.8%. 자신이 느끼는 사회적 계층을 묻는 질문에는 40.4%가 중하류층, 15.1%가 하류층에 속한다고 응답했다.

kasa59@ilyoseoul.co.kr

수도권 강의석 기자 kasa59@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