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박형남 기자] ‘국민통합, 100% 대한민국’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박 대통령은 대선 당시 “모든 공직에 대탕평 인사를 할 것이며 한 지역이 아니라 모든 지역에 해당하는 100% 대한민국 정부가 될 것”이라며 실현 의지를 드러냈다. 이 같은 공약을 내세웠지만 국민통합 실현 의지는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 중심에는 편중인사 문제가 있다. 실제 5대 권력기관장을 비롯해 의전서열 34명 중 15명, 청와대 전현직 비서관급 이상 고위직 115명 중 41명은 모두 영남권 출신이다. 이외에도 5대 권력기관 고위직 인사 등도 영남권 출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편중인사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통합’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 야당의 지적이다.
이에 반해 대통령의 출신지나 지지기반이 인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현실론도 팽배하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도 인사편중 논란이 심했던 탓이다. 영남지역이 정권을 잡으면서 영남권 인사들이 요직을 차지했고, 차별을 받았던 호남 인사들도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요직을 차지했다.
그렇다면 박근혜 정부가 편중인사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거론되는 현직 고위직 인사들은 누가 있을까.
야당이 작성한 ‘특정지역 편중인사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청와대 현직 수석비서관급 이상의 인사 중 영남권 출신은 현정택 정책조정수석, 우병우 민정수석, 김성우 홍보수석, 이명재 민정특보, 김재원·주호영 정무특보, 안종범 경제수석, 최원영 고용복지수석, 박흥렬 경호실장 등이다.
청와대 현직 비서관급으로는 신동철 정무비서관, 권정훈 민정비서관, 곽병훈 법무비서관, 천영식 홍보기획비서관, 안봉근 국정홍보비서관, 전광삼 춘추관장, 김경욱 국토교통비서관, 석제범 정보방송통신비서관, 이찬희 기후환경비서관, 민무숙 여성가족비서관, 문승현 외교비서관, 우경하 의전비서관, 민병호 뉴미디어비서관, 김동극 인사비서관 등이 영남권 출신이다.
이외에 정부 차관급 이상의 경우 영남권이 37.1%를 차지하는 등 영남권 편중 인사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야당은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은 ‘국민분열, 반쪽 대한민국’으로 전락했다”며 “영남권이라는 특정지역 편중 인사가 개선되기는커녕 더욱 심화되고 독점 인사의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7122love@ilyoseoul.co.kr
박형남 기자 7122love@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