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조작 무죄’ 오덕균 CNK 대표, “정치권이 발목 잡아…”
‘주가조작 무죄’ 오덕균 CNK 대표, “정치권이 발목 잡아…”
  • 홍준철 기자
  • 입력 2015-02-09 09:22
  • 승인 2015.02.09 09:22
  • 호수 1084
  • 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ㅣ홍준철 기자] 이명박 정권 당시 정부차원에서 추진한 해외 자원외교가 부실 투자 의혹으로 국정조사를 앞두고 있다. 반면 민간인 차원에서 추진된 자원 외교는 성공할 수 있었으나 국내 정치가 발목을 잡아 무산되는 등 대조를 이루고 있다. KMDC 이영수 회장의 경우 미얀마 가스 채굴권을 이미 획득했지만 야당의 특혜 의혹 논란으로 해외 유명 메이저사로 넘어갔고 정국을 뒤흔들었던 아프리카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채굴권 역시 중국인의 손에 넘어갔다. 다이아몬드 광산 경영권을 가지고 있던 오덕균 CNK인터내셔널 전 대표는 5일 <일요서울>과 전화 통화에서 “이미 제3국의 손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다”면서 “주가조작 혐의도 무죄를 받았고 정권 차원에서 도움도 받지 않았는데 정치권이 발목을 잡아 어렵게 됐다”고 하소연했다.

- “4년 고생, 중국 타이푸 그룹 경영권 되찾을 것”

▲ 오덕균 cnk인터내셔널 대표
여야가 자원외교 국정조사로 ‘이명박 전 대통령’을 증인으로 채택, 출석 여부를 두고 공방이 한창이다. 야당에서는 26조 이상 국민 혈세를 낭비했다며 이 전 대통령의 증인 출석은 불가피하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이 전 대통령은 회고록을 통해 “총회수 전망액은 30조원으로 투자 대비 총회수율은 114.8%에 이른다. 노무현 정부시절 투자된 해외자원 사업의 총회수율 102.7%보다도 12.1% 포인트가 높은 수준"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명박 정권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한 사업이 국정조사를 받을 만큼 혈세 낭비와 부실 투자 논란이 일고 있는 반면 민간인 차원에서 추진한 자원 외교는 거꾸로 정치권이 발목을 잡아 제3국으로 속속 넘어가면서 해당 인사들을 분노케 하고 있다.

“다이아몬드 광산 허위정보 단정 못해”

최근 CNK 주가조작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오덕균(49) CNK 인터내셔널 전 대표와 김은석(57) 전 외교통상부 에너지 자원대사가 1월23일 1심 재판에서 ‘주가조작’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 받았다. 단 오 대표의 경우 상장법인의 신고 공시의무 위반으로 인한 자본 시장법 위반, 대여금 지급으로 인한 특정경제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배임 혐의(11억5200만원) 등 일부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가 인정돼 징역 1년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

1심 판결이지만 그동안 오 전 대표가 다아이몬드 광산의 매장량을 허위로 발표하는 등 CNK 인터내셔널 주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900여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가 무혐의 처분된 셈이다. 오 전 대표는 2013년 검찰 수사를 받던 중 카메룬으로 출국했다가 2014년 3월23일 자진 귀국하면서 수사가 재개됐다. 한편 김 전 대사는 오 전 대표와 공모해 외교부 명의의 보도자료를 내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주가조작을 부추켰다는 의혹을 받았지만 재판부는 “김 전 대사와 CNK가 공모했다고 볼 정황이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오히려 재판부는 오 전 대표가 4억1600만 캐럿의 매장량과 수십조원의 가치가 된다 했던 다이아몬드 매장량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CNK는 사전에 발표한 다이아몬드 생산계획을 지키지 못했지만 검찰의 조사가 시작돼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생산량을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이라며 “정보를 허위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옹호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오 전 대표는 1심재판이 나기 전 지난해 12월31일 <일요서울>과 문자 대화를 통해 “저는 1월 선고를 앞두고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기대한다”면서 “이 시점에서 모든 오해와 왜곡을 바로잡고 한번 국제적인 비즈니스를 제대로 하고 싶다”고 심경을 밝혔다. 또한 오 전 대표는 “정치적으로 아무 문제도 실체도 없는 것을 일무 몰지각한 정치인이 게이트로 몰고 가고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한 언론은 어떠한 사실도 확인하지도 않은 채 무책임하게 사실인 양 보도해 이 지경에 이르렀다”며 “모든 준비는 다 되어 있으며 이제 국내법적인 문제만 남아 있다”고 새출발할 것을 다짐했다.

다이아몬드 개발 ‘경영권’ 중국손으로

오 전 대표는 지난 5일 <본지>와 전화통화에서도 “무소속 정태근 전 의원이 주가조작이니 정권 실세 연루니 위증죄로 고발했지만 무죄로 나왔다”면서“4년 동안 고생했다. 다시 경영권을 되찾기 위해 힘들지만 노력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민간인 차원에서 자원외교를 추진하면서 어떠한 정치인들의 도움을 받지 않았고 박영준 전 차관도 모른다”며 “제발 다시 일을 하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켜봐 달라”고 애원했다.

한편 검찰은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지분을 중국에 판매했다고 2014년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오 전 대표는 CNK마이닝카메룬의 경영권(지분 58%)을 330억원에 중국 타이푸 전기그룹에 팔아 넘겼다. 그는 주식매각대금으로 받은 돈 중 일부를 횡령대금 변제 등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다이아몬드 개발 관련 각종 의혹을 제기한 무소속 정태근 전 의원은 2013년 7월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발해 놓은 상황이다.

오 전 대표와 상황은 다르지만 민간인 차원에서 해외 자원외교에 진출했다가 유사한 피해를 본 인사가 바로 이영수 KMDC 회장이다. 이 회장은 미얀마 정부로부터 A5, A7 가스 탐사 및 개발권을 획득했지만 구민주당 우제창 전 의원의 ‘정권 특혜 논란’과 ‘빈 광구’라고 의혹을 제기하면서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또한 박영준 전 차관이 뒤를 봐준다는 의혹을 받은 것도 비슷하다.

이 회장 역시 미얀마 정부로부터 획득한 가스 탐사 및 개발권을 국내 야당 정치인과 사정기관, 그리고 언론에서 확인되지 않는 의혹 제기와 조사를 받으면서 결국 2013년 하반기에 미얀마 정부에 자진 반납하게 됐다. 그러자 미얀마 정부는 2014년 3월26일 A5 가스 광구 개발권은 미국 메이저 에너지사인 쉐브론으로 넘겼고 프랑스 토탈이라는 메이저 업체가 석유를 시추하는 중에 가스가 터진 A7 광구는 영국 비지(BG)사와 호주 국영업체인 우드사이드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당시 이영수 회장은 <본지>와 인터뷰에서 “이명박 대통령, 이상득 의원, 박영준과는 아무런 관계없이 진행한 개인 사업이다”면서 “단지 석유공사 가스공사 공무원들이 현장조사도 없이 경쟁사인 대우인터내셔널 법인장 말만 듣고 드라이(빈 광구)라고 한 것을 정치권이 빌미로 삼아 결국 외국 업체에 넘어간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영수와 오덕균 ‘민간자원외교’ 한계

특히 이 회장은 오 전 대표와 마찬가지로 민간인 차원에서 실시되는 자원외교의 실상에 대해서 안타깝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 회장은 인터뷰 말미에 “해외 자원 외교는 정부가 직접하는 경우는 드물다. 민간기업이 주도적으로 한다”면서 “외국의 경우 작은 법인이 계약을 하면 상장도 시켜주고 정부가 지원해주고 시장도 돈을 대준다. 이게 외국과 우리의 차이다”며 울분을 터트렸다.

또한 이 회장은 “정치인들이 정신을 차려야 할 게 국익에 도움이 되면 여야를 떠나 힘을 합쳐야 하고 국익이 안 되면 의견을 높이고 싸워야 한다”면서 “현실의 정치인들은 국익에 도움이 되든 안 되든 정쟁의 도구로 삼아서 국가와 기업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쓴소리를 보냈다. 결국 이 회장은 우 전 의원을 검찰에 고발해 승소했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