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구제역 제로'로 구제역 확산 방지에 총력
경기도, '구제역 제로'로 구제역 확산 방지에 총력
  • 수도권 강의석 기자
  • 입력 2015-01-15 15:15
  • 승인 2015.01.15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수도권 강의석 기자] 경기도가 구제역 확산방지 및 조기종식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도는 지난 12월 충북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확산되는 가운데, 친환경 소독제 구제역 제로의 공급량을 평소 주 2톤 생산에서 10톤까지 확대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구제역이 확산된 경기 이천, 용인, 안성 지역을 중심으로 부분 살처분 처리 농가 방역대 내 축산농가 도축장 등 취약지역에 집중 공급하고 있다.

도 관계자에 따르면 '구제역 제로'는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의 바이오연구센터에서 생산과 공급을 담당하고 있으며, 유산균과 구연산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해 만든 친환경 미생물 제재다.

더불어 일반소독제가 소독하기 어려운 사료 및 음수통, 축체, 농후사료 등에 직접살포 및 급여가 가능하며, 유산균의 생균 효과와 구연산의 살균효과를 배합·활용해 가축의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병원성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등 효과가 탁월하다.

임병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장은 백신접종으로 항체가 완전히 형성될 때까지 감염축이 산발적으로 나올 수 있고, 감염축이 배출하는 바이러스 양과 그에 대한 제거가 확산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신속한 신고와 더불어 동거축에 대한 소독 등 차단 방역에 전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는 지난 10월부터 금년 5월까지를 구제역 특별방역기간으로 정하고 타 시·도와 접경지역, 과거 구제역 발생지역 등 취약지역 축산농가에 '구제역 제로'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구제역 확산방지에 힘을 기울여 왔다. 더불어 24시간 상황근무 체계 확립 및 긴급방역 체계구축을 통해 의심축 신고 시 방역관을 급파, 감염축 색출과 살처분을 비롯한 초동방역조치와 사후관리 등 구제역 바이러스 제거작전을 펼치고 있다.

kasa59@ilyoseoul.co.kr

수도권 강의석 기자 kasa59@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