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전북 고봉석 기자] 김승환 전라북도교육감은 확대간부회의에서 ‘청소년 대상 노동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12일 밝혔다.
김 교육감은 “최근 광주교육정책연구소가 발표한 자료를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9명이 노동자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갖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노동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갖지 못한 상황에서 노동자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까지 갖고 있다”면서 “청소년들 자신의 권리찾기를 위한 노동인권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에서 청소년 가운데 88.6%가 ‘노동자라는 말보다 근로자라는 말에 거부감이 덜하다’고 응답했으며, 청소년 노동 경험자 중 근로계약서 미작성(75.9%), 임금삭감·미지급(61.3%), 산업재해보험 미가입(58.3%), 최저임금 위반(57.4%) 등의 부당대우를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부당대우 때 어떻게 대응했느냐는 질문에는 그만둔다(45.8%), 해결법 몰라 무대응(30.1%), 참고 계속 일함(28.7%), 개인적으로 항의(11.3%), 노동청에 신고(5.3%) 등으로 청소년들의 권리찾기 의식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 교육감은 “현장취업을 나가는 특성화고 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노동인권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이 초·중학교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교원의 업무시간 실태와 개선 방안’에서도 교사들은 업무 시간 중 14.6%(1.42시간)를 수업준비 및 평가에 투자하는 반면, 25.6%(2.59시간)를 행정업무(학교 경영업무와 학급 행정업무)에 투자하고 있다고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교육감은 교사들이 행정업무에 지쳐서는 교육이 살아날 수 없다며 교원들의 행정업무경감에 더욱 힘쓸 것을 관련 부서에 지시했다.
ilyo@ilyoseoul.co.kr
전북 고봉석 기자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