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구영신의 자세
송구영신의 자세
  • 민병돈 유진투자증권 본점영업부 이사
  • 입력 2014-12-15 09:59
  • 승인 2014.12.15 09:59
  • 호수 1076
  • 40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장 포트폴리오, 버릴 것은 과감히 버려야

연말이 다가옴에 따라 차분한 마음으로 올 한 해를 정리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야말로 송구영신, 묵은 것은 보내고 새로운 것은 맞아들이는 때다. 투자자들 역시 올 한 해의 투자를 정리해보며 반성과 기대의 마음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을 것이다.

 
미련, 아쉬움 남는 종목은 갈아타라 
찾아야 하는 것은 투자에 대한 설렘
 
묵은 것을 보낸다는 것은 곧 버림이다. 그런데 이 버린다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 책장이나 옷장을 정리하는 것도 그렇고 마음을 비운다는 것은 더욱 그렇다. 하지만 제대로 버릴 줄 알아야 새롭게 다시 시작할 수 있고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채울 수 있다. 
 
온갖 묵은 것이 꽉 차 있는 곳에 어떻게 새로운 것을 들일 수 있으며 설령 새로운 것을 들인다 해도 그 새로움이 낡은 것들 사이에서 어찌 빛을 발휘할 수 있겠냐는 말이다. 곁에 없는 인연을 마음속에 담아둔 채 새로운 인연이 맺어지길 바라는 마음과 비슷하다. 
 
포트폴리오 역시 마찬가지다. 올 한 해 기쁨을 준 종목도 있지만 아픔을 안긴 종목도 있다. 아픔을 안긴 종목은 그 아픔에서 교훈을 얻고 기쁨을 준 종목은 그 기쁨의 원천을 다시금 곱씹어 보며 한 해를 정리할 일이다. 성경 말씀대로 새 술을 새 부대에 넣듯 그렇게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갈 일이다. 
 
무언가 정리할 때 중요한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버린다는 것은 이제 인연을 끊는 것이기에 미련과 아쉬움이 남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은 한편으로 그 빈자리에 더 가치 있는 것을 채워 넣기 위한 선행 작업이기에 마땅히 해야만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버릴 것과 남길 것을 고르는 기준은 미련이나 아쉬움이 아니라 설렘이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단순히 대상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더 가치 있는 대상으로 바꾸는 것이 돼야 한다. 따라서 설렘과 기대가 기준이 돼야 한다. 이 종목을 들고 있어서 행복한가 혹은 갖고 있어서 설레는가 하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
 
가지고 있어도 행복하지 않은 물건, 지니고 있어도 설레지 않는 물건은 스스로에게 적당하지 않은 것이고 이미 효용이 다한 것이다. 주식투자는 역시 마찬가지이다. 미련이나 아쉬움이 느껴지는 종목은 이미 가치가 다한 종목이다. 효용이 다한 종목은 정리하고 설렘을 주고 기대감을 갖게 하는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일이다. 
 
아쉬움과 미련이 남은 종목에서 설렘과 기대감이 느껴지는 종목으로 갈아타기와 포트폴리오에 있어서의 송구영신은 연말이 가장 좋다. 연말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한 해의 투자를 되돌아보며 새로운 기대감으로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구성해볼 시기다. 
 
민병돈 유진투자증권 본점영업부 이사

민병돈 유진투자증권 본점영업부 이사 ily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