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진 의원이 국감활동중 눈에 띄는 활동으로 10월27일 경찰청, 안전행정부를 대상으로 질의한 ‘전국민 차량 이동경로 시스템 추적시스템’ 가동 실태를 공개한 점이다.
진 의원은 ‘수배차량 감시목적’이라고 하지만 전 국민 차량 주행정보를 경찰이 수집, 저장하는 것은 대한민국 사회가 ‘감시 사회’로 접어들었다는 반증이라고 관련기관을 질타했다. 이후 피감기관에서는 “현행 시스템 중단하겠다”, “명확한 운영규정 만들겠다”고 약속을 받아내는 성과를 올렸다.
또한 진 의원은 서울경찰청 국정감사장에서는 용산화상경마장 불법 경비원들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마사회가 개입해 경비원들의 진술을 사전에 입을 맞추는 등 위증 교사 및 증거인멸 교사의혹이 있다며 관련 녹취를 제시했다.
경찰 수사중인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마사회가 돈 주기로 한 정황등 입맞추기 정황을 녹취해 공개해 서울 용산경찰서 수사에서 서울청 광역수사대 수사로 격상시키고 “성역없이 수사하기로 했다”는 다짐을 받아냈다.
한편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에 대한 관심과 기득권 세력에 대한 질타도 잊지 않았다. 진 의원은 울산 경찰청 국정감사장에서 ‘현대중공업 하청 노동자 자살’사건과 관련해 사망 원인과 관련 경찰의 수사과정의 문제점과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
진선미 의원은 부검 감정서 두피하 출혈 소견, 샌딩기 리모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 제기했고 정신과 진료만 부각, 어두운 작업 공간 특수성 연결된 ‘안과’ 기록 누락과 사고 직전 ‘사랑해’ 등 다정한 카카오톡 대화 누락을 들며 자살에 의문을 제기해 상부 기관에서 재수사를 결정하는 데 일조했다.
이밖에도 소방방재청 국정감사장에서 소방관 고위직 출신들 관련 협회에 재취업관련 ‘관피아 척결’에 앞장섰고 해당 기관 인사들의 근무 태만을 지적해 징계를 받도록 조치했다.
진 의원은 <일요서울>과 통화에서 “안전문제와 부패발생의 원인이 되는 '관피아 문제'와 사회적 약자들 보호 방안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