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전북 고봉석 기자] 전주시가 태조어진 봉안행렬을 재현한다.오는 10월 18일 2시 30분에 재현되는 봉안행렬은 노송광장에서 출발하여 팔달로를 거쳐 경기전까지 행렬을 재현한다.
태조어진 봉안행렬은 1688년(숙종 14년)에 서울 영희전의 태조어진을 새로 모사하기 위해 경기전의 태조어진을 서울로 모셔갔다가 다시 전주로 모셔오는 과정을 재현하는 행사이다.
올해의 태조어진 봉안행렬은 시청 앞 노송광장을 주정소(晝停所, 왕의 행렬 중 잠시 멈추어 쉬는 곳)로 상정하고, 행렬의 출발을 시작하는 진발의식(進發儀式, 주정소에 머물렀다가 다시 출발을 알리는 의식)을 진행한 후 본격적인 봉안행렬이 시작된다.
태조어진 봉안행렬의 선두에서는 전라감사가 전체 행렬을 호위하며 말을 타고 간다. 그 뒤로 신여(神輿), 향정자(香亭子), 전부고취, 금난포수, 신연(神輦), 후부고취, 후사대 순으로 행렬을 이룬다.
행렬에는 대략 200여명의 인원이 참가하며, 행렬인원 뒤편으로는 일반시민 200여명이 행렬을 따라 움직인다.
봉안행렬이 경기전 정문에 도착하면 신연(神輦)에 모셔진 어진궤를 신여(神輿)로 옮기고, 의장들이 도열한 가운데 경기전 외신문까지 행렬한다. 이후 신여에서 어진궤를 꺼내 경기전 정전에 모신다.
어진이 경기전 정전에 모셔지면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관으로 태조어진 봉안을 알리는 고유례(告由禮를, 태조어진 봉안을 잘 마쳤음을 알리는 제례) 진행하며 고유례가 끝나면 모든 행사를 마치게 된다.
태조어진 봉안행렬은 전주에서만 볼 수 있는 행사로 전문가 고증을 통해 새롭게 재현한 것임으로 여느 때와는 다르게 조선시대의 봉안행렬 원형에 가깝도록 내실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전주향교 유림과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도 행렬에 직접 참여 할 수 있도록 유도, 지역내에서 태조어진의 위상과 조선왕조의 정통성에 대해 부각시킬 예정이다.
이러한 봉안행렬을 추진하기 위해서 지난해 재현행사의 시대적 기준을 정하고, 봉안행렬 과정과 인력 등 행렬 전반에 대해서 봉안행렬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전문가에 의한 역사적 고증작업을 추진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태조어진 봉안행렬은 전문가 고증을 통해 근거를 만들고, 1668년(숙종 14년)때의 태조어진 봉안행렬을 재현하게 되었다”며“ 향후 국내 및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행렬의 품격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ilyo@ilyoseoul.co.kr
전북 고봉석 기자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