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홍준철 기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이 기존 오프라인 정당에서 온, 오프라인을 결합한 네트워크 정당을 주창했다. 문 의원은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국민 참여형 정당이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다. 한때 국민의 명령 문성근 상임고문이 주창했던 정당의 모델로 구 민주당이 이를 포기하자 탈당한 바 있다.
이를 문 의원이 이어받아 새정치연합의 변화의 모델로 삼고 있다. 문성근 고문의 주장에 따르면 네트워크 정당이란 동서 지역을 통합하고 20~30대와 윗세대 간의 세대통합을 이루며 정치에 관심은 많으나 당원으로 활동하는 것은 꺼려하는 시민까지 모두 힘을 합칠 수 있도록 기존의 오프라인정당에 인터넷과 SNS를 탑재한 '온오프 결합정당'을 말한다. 또한 중앙당은 직능별 시민단체 등과 정책협약을 맺어 시민단체의 회원이 당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에서는 생활권역별로 온라인 지구당을 만들어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 오프지구당은 기존의 당원 중심, 온라인지구당은 지지자 중심이라는 것이다. 문재인 고문의 네트워크 정당은 사실상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탄생 당시 국민참여경선인단에 참여한 200만 명을 재결집시키고 국민의 명령 등 흩어진 야권 세력을 하나로 뭉치게 하기 위한 복안인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비노 진영에서는 반발하고 있다. 2012년 6·9 전당대회와 대선 경선 당시 이 같은 가치와 철학에 따라 당원이 아닌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투표’를 처음 도입하면서 이해찬 의원과 문 의원 본인이 각각 당 대표와 대선 후보로 뽑히는 데 크게 기여했기 때문이다. 비노측에서는 전대 룰 관련 비대위원이 언급하는 것 자체가 당 분란을 자초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