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김종현 기자] 한국타이어의 대구 경북 지역 진출의 첫 단추인 상주 주행시험장 건립사업에 대해 상주시가 제동을 걸면서 무산 위기에 놓였다. 시 측은 주민 반대로 한국타이어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지원활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타이어 측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상주시는 지난 24일 3명으로 구성한 상주공검일반산업단지 조성 테스크포스 활동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타이어가 추진해 온 ‘테스트 엔지니어링 센터’ 건립은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9월 2020년까지 상주시 공검면 120만㎡에 2535억 원을 들여 주행시험장과 시험용 타이어 제조시설로 구성된 ‘테스트 엔지니어링 센터’를 건립하기로 하고 경북도를 비롯해 상주시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에 상주시는 지난해 10월부터 테스크포스를 구성해 주민동의서를 받아왔다.
이후 한국타이어 측은 산업단지로 지정받으면 제조시설 건립이 쉽고 혜택이 더 많을 것으로 판단해 올해 2월 테스트 엔지니어링 센터를 공검일반산업단지로 지정받아 조성하기로 계획을 바꿨다.
그러나 최근 상주 공검지역 일부 주민이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집회를 여는 등 산업단지 조성에 반발하고 나섰고 이정백 현 시장이 취임하면서 지난 7월부터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상주시 관계자는 “지방선거 당시 반대 측 주민들의 여론을 수렵해 재검토를 공약했었고 현재 주민들이 적극 반대에 나섬에 따라 행정지원을 일단 중단했다”고 밝혔다.
특히 대책위 측은 “타이어 제조공장과 주행시험장은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고 공해만 배출한다”며 “주행시험장을 달리는 차량에서 닳아 없어지는 타이어가루가 인체에 해를 끼치며 친환경농산물도 재배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이들은 지난 22일 상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이 시장에게 원점 재검토 공약을 지키라고 농성을 벌였다.
이에 대해 찬성 측 주민들은 “상주를 관통하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양방향에는 하루 2만여 대의 차량이 다니는데 도로변에는 농작물 가로수 등 식물이 잘 자란다”면서 “친환경농사를 지울 수 없다는 논리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한국타이어 측도 “반대 주민 중 주행시험장 예정 부지를 자기들 쪽으로 변경하면 찬성하겠다는 제안도 받았다”며 “경북도와 상주시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받고 왔는데 이런 식이면 상주에 누가 기업을 하러 오겠느냐”고 불쾌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경북도 역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양해각서 내용대로 중단 없는 건립이 진행돼야 한다”며 “상주시가 문제 해결 노력도 없이 경북도와 공동 체결한 양해각서를 파기할 경우 앞으로 두 기관의 관계가 냉랭해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관해 상주시 관계자는 “현재는 주민 사이에 찬반 의견이 갈려 있어 일단 테스크포스 활동을 중단했지만 모든 행정 절차를 중단하거나 산업단지 조성을 백지화한 것은 아니다”라며 “다음달께 주민 의견을 수렴해 입장을 정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todida@ilyoseoul.co.kr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