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건입수]대명그룹 직원 이용권 강매 의혹
[문건입수]대명그룹 직원 이용권 강매 의혹
  • 이범희 기자
  • 입력 2014-09-22 11:35
  • 승인 2014.09.22 11:35
  • 호수 1064
  • 29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워터파크 상품 판촉 논란 “인사상 불이익 있었다”

“인센티브 지급할 땐 제3자 통장 이용”
회사 측 ‘묵묵부답’…관련 의혹만 더 키워

[일요서울 | 이범희 기자] 국내 레저업계 1위 대명리조트가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리조트 이용권을 비롯해 매년 열리는 음악회 행사 입장권을 강매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골프장 회원권 판매의 경우 인센티브를 본인 통장이 아닌 제3자 통장을 이용하도록 했다는 증언까지 나돌고 있어 그 진위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세무당국의 조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일요서울]이 입수한 ‘임직원 대상 워터파크 전략 상품 판매(안)’은 ‘워터파크 영업활성화 및 목표 달성을 위한 임직원 공감대 형성’, ‘대명리조트 이용에 대한 임직원 친인척 및 지인에 대한 선물용 상품 활성화’라는 목적을 담고 있다.

그러면서 대명리조트가 보유한 전 사업장(비발디, 델피노, 단양, 경주, 변산, 거제 등 쏠비치 제외)에 대한 상품 판매에 대한 세부설명이 담겨 있다. 이 서류는 또한 본사 마케팅기획팀의 본부장, 부사장, 사장까지 결재를 마친 상태였다.

이 중 ‘워터파크 4명(구명조끼 제외)+워터파크 보유 사업장 주중 객실권 1매’ 10만원 상품권이 문제가 됐다. 영업 직원이 아닌 일반 내부 직원들에게도 판매를 강요했다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대명에서 오랫동안 일했다는 A씨는 본지와의 전화인터뷰에서 “회사에서 저희(자체) 매출이 안 나오다보니 콘도랑 수영장을 쓸 수 있는 이용권을 만들었다. 한 세트당 10만 원이다. 전 사업장 및 전 직원에게 판매하라고 할당량이 내려왔다”며 “그걸 판매한다 해서 인센티브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월급이 더 나오는 것도 아니다. 무조건 팔라고만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영업직이 아닌 내부직원이다. 쉽게 설명하면 사무직이다. 예전에는 실적까지 기록했었다”며 강압적 압박이 있었음을 짐작케 했다.

대명리조트의 강매 논란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A씨에 따르면 매년 열리는 회원제 음악회와 관련해서도 입장권 판매 할당량이 있었다고 한다. 판매 성과에 따른 인사상의 불이익이 있다고도 했다.

A씨는 “학력이나 업무 수행능력이 비슷한 사람이 있는데 이중 한 명의 판매 실적은 좋고 다른 한 명의 실적이 나쁘다면 누구를 쓰겠냐”고 반문하며 “자연스레 인사고가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내부직원들도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끊임없던 내부거래

그러면서 그는 “회사에서 현금 돌리기 위해서 하는 것 같다”는 의구심을 드러냈다.

골프회원권의 경우 금액이 커 현금 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대명에서 판매되는 골프회원권의 경우 최저 2400만 원에서 최대 10억 원에 육박하고, 그 중 일부를 인센티브로 돌려받게 되는데 그 금액 또한 무시할 수 없다는 것. 이에 회사에서 제3자의 금융계좌를 요청한 적도 있다고 전한다.

A씨는 “콘도나 골프회원권의 경우 2400만 원짜리를 팔면 100만 원 상당의 인센티브가 나오는데 그 돈을 소득이 없는 제3자의 계좌를 통해 받게 했다”고 주장했다.

판매 소득이 나오면 세금을 내야하는데 이를 내지 않기 위한 꼼수라는 것이다. 회원권이 비싼 경우는 10억 원에 육박하는 것도 있어 그 세금도 큰 금액이 된다.

A씨는 “본인 계좌가 아닌 제3자의 계좌로 돈이 들어오면 그 통장에서 돈을 찾아 쓰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명백한 차명계좌 운영이다”라고 주장했다. 만약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 세무당국의 수사를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세무당국의 한 관계자는 “강매도 문제지만 차명계좌 이용이 사실이라면 이 부분에 대한 조사가 시급할 것”이라며 “관련 의혹이 규명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리조트가 비수기가 되면 경영안정을 위해 잘못된 관행이 이어지고 있다”며 “뿌리가 깊었던 것이 어제오늘의 일만은 아니었던 만큼 이를 해결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사실 확인을 요청했지만 대명 측은 “회의 중”이라는 답변만 남기고 더 이상의 연락이 닿지 않았다.
skycros@ilyoseoul.co.kr 

이범희 기자 skycros@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