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오산시가 서울대병원 분원 유치와 관련해 땅을 매입하고도 매입 토지를 1년 넘게 방치하는 등 손을 놔,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는 2008년 서울대 병원과 오산에 병원 분원을 설치한다는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해 9월까지 517억 원으로 내삼미동 114-1번지 일대 12만3125㎡를 매입했다. 3141억 원의 오산시 올 전체 예산 가운데 6분의 1에 해당하는 517억 원의 토지 매입비가 사용됐다. 하지만 서울대 측이 지난 5월 27일까지 3년 동안 서울대병원 오산분원 설치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못해 MOU는 이미 기한 만료로 효력을 잃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가 병원 분원 설치에 대한 장기계획은 추진 중이나, 현재 오산 분원 보다 재난의료센터 및 특수목적의료기관 건립을 추진 중으로 알려져 땅 활용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양 측 모두가 앞서 체결한 업무협약에 대한 연장 방안을 모색 중이나, 현재까지는 업무협약이 중단된 꼴이다. 결국 오산 분원이나 재난특수병원 결정 및 완공까지는 최소 3∼4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여, 시의 재정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부채규모가 224억 원에 불과한 오산시가 이 같은 문제 등으로 내년 100억 원 규모 지방채 발행 계획을 세워 재정 상태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손정환 오산시의원은 “오산시가 서울대 측과 업무협약만 체결한 과정에서 무리하게 부지를 매입한 측면이 있다”면서 “업무협약이 실효된 상태에서 새로운 업무협약을 맺지도 못했고 방치된 이 땅 부지에 대한 활용방안도 만들어 놓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500억 원이라는 금액으로 부지를 매입해 놨지만 방치해 부지매입 비용에 대한 기회비용이 손실되고 있는 꼴”이라며 “시는 하루빨리 이 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대책을 내놓아야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병원 유치를 위해서는 땅을 사놓지 않을 경우 유치가 어렵다고 판단해 부지확보를 우선적으로 추진했다”면서 “인근 개발 등에 따른 땅의 가치 상승은 물론 이 부지를 농경지로 사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장중 기자> kjj@ilyoseoul.co.kr
김장중 기자 kj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