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영국·캐나다·EU(유럽연합) 선진국들과 일부 중동·중남미 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대규모 코로나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해외 국가들 대부분은 지난 봄·여름부터 백신을 입도선매하려고 노력해 2021년 코로나 종식의 신호탄을 쏘아올렸습니다.
각국이 확보한 백신 물량은 ▲EU 10억6000만 회분(4억5000만 명분) ▲일본 2억8000만 회분(1억2700만 명분) ▲캐나다 2억1000만 회분(3800만 명분) ▲영국 2억3700만 회분(6800만 명분) ▲이스라엘 1400만 회분(900만 명분)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백신 확보가 여의치 않은 상황인데요. 지난 9일 문재인 대통령은 “4400만 명분의 백신 물량을 확보했고, 내년 2~3월에 초기 물량이 공급돼 접종을 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계약이 완료된 것은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 명뿐이었습니다. 사실상 3400만 명분의 계약 완료 시점은 불분명한 상태입니다.
‘백신 확보’ 경쟁은 가을에 마무리되는 분위기였습니다. 당시 경쟁 흐름에 따라가지 못했던 한국 정부가 1000만 명분의 백신만을 겨우 확보한 것은 당연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마저도 전량 확보되는 시기는 불투명해 여론의 지탄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음모론까지 더해졌는데요. 앞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7일 비대위원 회의에서 “정부와 여당이 코로나 백신이나 재난지원금 스케줄을 내년 재보선에 맞췄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고 언급했습니다.
청와대는 곧바로 “음모론에 가깝다”고 해명했지만, 시민들은 “합리적 의심이 든다”, “청와대와 여당은 벌써부터 보궐선거를 준비하고 있네”, “죽음도 선거에 전문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라며 비관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8일 브리핑에서 “모더나 내년 1월 계약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당초 올해 안에 모더나, 화이자, 얀센 3개 사의 2400만 명분 백신 계약을 마무리할 것이라 전망했지만, 결국 모더나 1000만 명분 백신 계약은 올해를 넘기게 될 전망입니다.
2020.12.18 일요서울TV 신수정기자
신수정 기자 newcrystal@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