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12일 ‘대구 군 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이하 ‘선정위원회’)’에 참석했다.
도에 따르면 선정위원회에는 행안부‧환경부‧국토부 및 산림청‧문화재청 등의 차관(차장), 공군, 대구시장, 군위군수, 의성군수 및 민간위촉위원 등 14명이 함께 했다.
오늘 회의는 이전후보지(군위군, 의성군)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를 통해 주민투표 및 부지선정 방식을 마련하는 방안을 의결하기 위해 열렸다.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는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위원회 구성 → 시민참여단 표본 추출 → 시민참여단 숙의 → 설문조사 순으로 진행되며, 설문 조사 결과는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위원회’가 이전부지 선정위원회에 전달하여 이전부지 선정기준(안) 마련에 반영하게 된다.
‘시민참여단’은 지역‧연령‧성별을 고려해 200명(군위군 100명, 의성군 100명)을 개별면접조사 방식으로 무작위 표본을 추출해 구성하고, 2박 3일의 숙의 과정을 거친 후 설문조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 방식’은 대표성 있는 지역주민의 숙의된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선정기준의 민주성이 제고되고 수용성과 선택의 합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7월~10월 국방부, 경북도지사, 대구시장 주관으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해 4개 지자체장 간 협의를 진행했으나 지자체 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또한, 10월 15일,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는 국방부 장관을 면담하고 국방부에서 대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국방부는 대표성 있는 이전후보지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방안을 마련했고, 4개 지자체 모두 동의했다.
앞으로 선정위원회에서는 ‘숙의형 시민의견 조사위원회’에서 전달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이전부지 선정 절차와 기준을 정하고, 공청회를 거쳐 이전주변지역 지원 계획을 수립한 뒤 주민투표, 지자체장의 유치 신청 후 최종 이전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선정위원회는 지난 4개월간 많은 고민을 거쳐 개최됐으며, 어려운 합의를 이끌어내 준 국방부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통합신공항 이전은 대구․경북 재도약의 기회”라며 “속도감 있는 추진으로 내년 설 전에 최종 이전지 선정이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성열 기자 symy2030@ilyoseoul.co.kr
의성군의 공항유치 찬성률은 90%를 상회하고 있는 실정인데,
의성군 시민참여단 100명이 의성군의 대표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실제 의성군민들의 유치찬반 의사 실태가 제대로 반영된 구성원이어야 한다.
무작위 추첨 방식으로 선발한다면 그래도 비교적 공정성이 보장될 텐데
국방부는 외면하고 공항찬성률이 저조한 김영만의 불리함을 만회시켜 주고자
인위적으로 찬성 33.3명 반대 33.3명 유보 33.3명씩 강제로 인원배정 했다.
의성군은 실제 찬성은 90명 정도인데 33.3명으로 확 낮추고 찬성과 유보는
10명에서 66.6명으로 확 늘렸으니 실태와는 전혀 다른 인적구성이다.
의성군 같으면 찬성률이 90%가 넘으니 무작위로 선정한다 하더라도
찬성 90명, 반대와 유보 10명 정도로 선정되는 것이 자연스럽고 실제와도 부합된다.
실태를 전혀 반영시키지 못한 시민참여단 구성으로 대표성은 완전히 상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