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가장 반가운 쪽은 말하나 마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편이다. 근래 여론조사 때까지 두 사람 지지율이 우열을 장담치 못할 만큼 막상막하로 나타났었다.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국민 지지도는 박근혜 전 대표의 청와대 독대 후에 급상승하는 기류였다. 청와대 회담이 만족스러웠다는 박 전 대표 언급 이후 일어난 변화는 크게 두 가지다.
큰 한 가지 변화는 이재오 전 의원이 한나라당에 탈당계를 내고 정부쪽 한 자리를 차지한 것과 또 하나는 정운찬 총리 인준안을 한나라당 단독으로 표결 처리하는데 관해 박근혜 의원이 일절 군말이 없었다는 점이다. 우리 정치사에 지금 이명박 대통령과 박 의원의 관계같이 특수한 정치적 파트너 관계가 없었다. 온갖 치부를 물고 쫓는 치열한 경선이 박빙의 승부로 끝나면 패자의 승복을 의심안 할 수 없는 우리 정치 현실이었다.
때문에 지난 경선 직후에 국민은 박근혜 입만 쳐다봤다. 그런데 그토록 이명박을 파헤친 박근혜가 즉석에서 경선 패배를 인정했다. 동시에 정권교체를 위한 이명박 지지를 선언했다. 전 국민에게 통쾌함을 선사하는 순간이었다. 많은 언론들은 신선한 충격이라는 표현을 썼다. 영리하고 정치력 강한 박근혜는 긴 5년 세월을 기다리는 인고의 순리를 간파한 것이다.
이인제의 탈당만 아니었으면 불과 몇 십 만표 차로 정권을 내놓지 않아도 됐던 그때의 역사를 국민이 잊을 리 만무하다. 이에 박근혜는 승복과 지지를 담보로 이명박 승리자에게 차기에 대한 믿음을 요구한 것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임기 중반을 지나 대연정을 요구했을 정도로 자신에게 힘을 보탤 우군을 찾던 그 기억을 잃지 않은 국민들이 이명박-박근혜의 진정한 화합을 바랬었다.
그러나 상황은 놀라울 만큼이나 달랐다. 임기 초반 반목과 오해로 둘 사이가 점점 멀어지는 모습을 나타내자 이명박 대통령 지지도는 50%대에서 형편없이 떨어져 20%대 미만으로까지 추락했다. 물론 ‘촛불’ 아닌 ‘횃불’등 악재가 많이 일어났다. 국정이 혼란한 가운데 나라의 분열상이 이만 저만 위태로운 지경이 아니었다. ‘친박연대’라는 이상한 이름의 급조된 정당에 국민 5% 가까이나 표를 몰아준 민심을 이 정부는 깨닫질 못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경선 승복과 자신의 지지를 선언했던 박 전 대표의 의리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속상해하는 국민이 적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이 대통령은 평탄한 국정 수행을 위해 박근혜 우산을 써야하고 박 전 대표는 이명박 그늘을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물론 둘의 사상과 철학이 틀려서 물과 기름 같이 화학적 용융이 어렵다는 사실을 잘 안다. 그래도 옳은 정치는 꾸준히 타협해서 상생의 길을 여는 방법일 것이다.
지금도 각 언론 사이트에 박근혜 흠집 내기가 조직적으로 자행되고 있다. 심지어 고 박정희 대통령에까지 허위사실을 유포시켜 음해하고 있다. 이를 근절하고 두 사람이 서로 이용하는 관계가 계속돼야 나라가 편할 것이다..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