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인사배경이 뭘 의미하는 것인지를 국민이 자못 궁금해 한다. 한마디로 검찰총장 내정자는 공안통이고 국세청장 내정자는 MB 측근이란 얘긴데, 거기에 충청 껴안기 전략이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정권 2기를 맞는 이명박 대통령이 공안통치 기조를 유지하면서 친정체제의 강화를 꾀할 것이란 전망이 두드러졌다.
특히 4대 권력 기관장이 모두 영남 출신이라는 그간의 비판을 의식한 인사로 ‘충청 일색’을 택한 이유가 반드시 있을 것 같다. 모르지만 여의도 연구소가 지난 13일 실시했던 여론조사 결과가 호남에 이어서 충청권까지 한나라당이 민주당에 뒤지고 있는 사실이 빠르게 충청권 민심을 달랠 카드를 찾도록 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유선진당 변수가 엄존한 가운데서 호남외의 전통적 지역분할 구도가 재연되면 수도권 민심이 언제 급변 할지 모른다는 강박관념이 존재했을 것이다.
그만큼 충청권 민심은 한나라당을 ‘영남권’ 안에 유폐시킬 수 있는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승부처는 내년 6월의 지방선거다. 내년 6.2 지방선거에서 충청권을 장악하는 당이 기세를 드높이게 될 것이다. 지금 민심 향배로 봐서 수도권에서 작년 총선 같은 ‘한나라당 압승’ 구도는 어렵다. 때문에 지방선거의 충청권 비중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맥락에서 MB인사의 검찰, 국세청 양대 권력기관장의 충청권 인맥 발탁은 절묘한 ‘포인트’ 만회 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충청권 민심이 한나라당에 어정쩡 스럽게 등을 돌리고 있는 상태에서 충청 출신 인사의 권력 핵심부 진입은 충청권에 퍼진 노란 색채를 빠르게 희석 시킬 역량으로 작용될 것이다.
민주당이나 자유선진당이 이번 인사 논평에서 지역편중을 말 할 수 없게 한 점도 재미있다. 민주당은 “천성관 내정자는 서울지점 공안부장 등을 역임한 공안통이고 백용호 내정자는 대통령직 인수위 출신의 최측근”이라며 “앞으로 어떤 표적수사와 보복 세무조사가 자행될지 걱정”이라는 비판 문안을 발표했다. 또한 자유선진당은 “이번 인사가 국정쇄신의 단초가 돼야한다”고 강조하고 청문회에서의 철저한 검증을 다짐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검찰조직의 이런 발탁인사는 지난 정부에서 일해 온 고검장 이상의 선배검사들이 무더기 퇴출하는 효과를 불가피하게 발생시킬 것이다. 물론 선택적 만류가 이뤄지겠지만 법조조직의 오랜 관행을 그쪽 밥 먹는 사람 치고 뛰어넘을 재간이 있을지 모르겠다. 또 백용호 국세청장 내정자는 재벌에 대한 견제 없이 출총제를 해제하는 재벌 편향적 사고를 나타낸바 있다. 규제 해제만 강조하는 신 자유주의적 경제학자 출신인 백 내정자의 국세청장 기용이 정권2기를 맞는 이명박 정부의 조세행정에 어떤 바람을 일으키게 될지 솔직히 기대 반, 우려 반이다.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