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오늘 DMZ 내 시범철수 GP 11개 상호검증
남북, 오늘 DMZ 내 시범철수 GP 11개 상호검증
  • 고정현 기자
  • 입력 2018-12-12 07:33
  • 승인 2018.12.12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고정현 기자] 남북 군사당국이 '9·19 군사분야 합의서' 이행 차원에서 시범철수한 11GP(감시초소)에 대해 12일 상호검증에 나선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상호검증이 오전부터 시작된다""오후까지 예정돼 있지만 언제까지 끝날지는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를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남북은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서 GP 시범철수 작업과 관련해 모든 화기 및 장비 철수 근무인원 철수 시설물 완전파괴 상호검증 등 4단계로 나눠 진행하기로 한 바 있다. 이번 상호검증은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남북은 시범철수 11GP의 현장검증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짐에 따라 각각 11개 검증반에 77명씩 총 154명을 오전과 오후로 나눠 투입해 상호검증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GP 1곳마다 7명으로 구성한 검증반이 투입되며 검증반은 대령급(북측 대좌급)을 반장으로, 검증 요원 5명과 촬영 요원 2명으로 구성된다.

상호검증은 남북 검증반이 미리 합의된 군사분계선(MDL) 상의 연결지점에서 만나 상대측 안내에 따라 해당 초소 철수현장을 직접 방문해 철수 및 철거 상황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오전에는 우리 측이 북측 초소 철수현장을 방문하고, 오후에는 북측이 우리 측 초소 철수현장을 찾을 예정이다. 남북이 상대 GP를 방문하는 것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처음이 된다.

이번 검증작업을 통해 우리 측은 북측의 GP가 군사시설로 전용될 수 없도록 불능화 했는지에 중점을 두고 검증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GP 파괴 작업에서 우리 측은 일부 GP를 제외하고 대부분 중장비를 사용해 철거한 반면, GP 하부에 지하시설이 많은 북측은 대부분 폭약을 이용해 파괴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북측 GP의 경우 폭파 작업으로 매몰된 지하 공간에 대한 검증이 이뤄져야만 향후 군사적으로 다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 파괴됐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란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국방부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지하시설의 완전 파괴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전문 인력과 장비도 투입할 계획이다.

원형이 보존되는 남북 각 1GP에 대한 검증도 진행된다. 우리 측은 역사적 가치 등을 고려해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최초로 설치된 강원 고성군에 위치한 동해안 GP를 보존하기로 했다. 이곳은 북측 GP580m 거리에 있다.

북측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36월 방문한 중부전선의 까칠봉GP를 보존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까칠봉GP는 남측 GP와 불과 350m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번 검증을 통해 그동안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은 북측 GP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수집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남북은 검증을 통해 해당 시범철수 GP가 다시 쓸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파괴됐다고 확인되면 이에 대한 자체 평가를 거쳐 군사실무접촉 등을 통해 한 단계 진전된 조치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고정현 기자 jh070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