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3000마리 이상 포획으로 겨울철 어업인의 주요 소득원
[일요서울 | 경남 서부 이도균 기자] 경남도는 10일 최근 진해만에서 겨울철 대표어종인 대구가 하루 평균 3000마리에서 4000마리가 포획되고 있다고 밝혔다.

냉수종 어종인 대구는 산란기(12월~익년2월)를 맞아 12월부터 진해만으로 돌아오고 있어 침체된 지역 수산업계는 활력을 되찾고 어업인들에게는 중요한 소득원이 되고 있다.
대구는 지나친 남획과 서식 환경의 변화로 1마리 값이 쌀 한 가마니를 호가하는 등 “바다의 귀족”으로 불렸지만, 도의 꾸준한 방류사업으로 어획량이 2003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에는 25만 6,778마리, 50억원의 소득을 올렸다.
올해도 1월달에만 창원을 비롯한 5개 연안시군에 대구수정란 49억알과 자어 4500만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그동안 도에서는 대구 자원회복을 위하여 1981년부터 대구 수정란 635억알을 방류하였으며 2009년부터는 도 수산자원연구소 등에서 직접 자어를 생산하여 부화자어 1억 4200만마리를 방류했다.
김춘근 경남도 어업진흥과장은 “앞으로도 대구의 지속적인 자원회복과 어업소득 창출을 위해 대구 수정란 및 자어방류 사업을 계속 시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경남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