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외대량매매로 세수 등 재원 확보 노려
시세차익과 유통물량 증가도…활황일 때 팔아야
블록딜은 기업이나 기관투자자 등이 보유한 주식을 대량으로 매매할 때 일정 수의 주식을 정해진 가격으로 한번에 묶어 파는 것을 가리킨다.
통상적으로 장중에 대량의 주식이 풀리면 해당 종목의 주가가 급속도로 출렁이기 때문에 장전후인 시간외로 거래된다. 가격은 전일 또는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년반 전부터
차근차근 팔아
이번에 정부가 기업은행 블록딜을 재추진하는 배경은 세외수입 확보에 있다. 기획재정부는 보유한 기업은행 주식 중 약 4%(2200만 주)를 블록딜로 매각한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지난해 말 기준 기업은행 지분의 51.2%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수출입은행과 현 산업은행으로 통합된 옛 정책금융공사가 보유했던 지분을 합하면 54.6%가 된다.
만약 정부가 이 블록딜을 마치게 되면 기업은행 보유지분은 ‘50%+1주’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얻게 되는 세수는 약 3600억 원이다.
앞서 정부는 2013년 11월부터 보유한 기업은행 지분을 차례로 매각해 왔다. 지난해에도 딜이 무산될 뻔한 과정을 거쳐 보유지분을 차근차근 팔았다.
이 과정을 거쳐 정부는 최종적으로 기업은행 지분을 약 70%에서 50% 수준으로 낮추는 중이다. 게다가 이번 블록딜은 주가가 다소 활황인 상황에서 진행돼 그간 진행된 블록딜보다 높은 가격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타 공기업들
보유지분 향방은
한편 정부는 기업은행 외에도 주요 공기업을 통해 개별기업 지분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인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정부가 주요 공기업을 통해 보유한 개별기업 주식을 매각할 경우 부채가 감축되고 재원이 확보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 증시가 호조일 경우 이에 따른 시세 차익과 발행주식의 유통물량 증가도 함께 기대할 수 있다.
사실 정부가 경영권을 쥐고 있어야 하는 경우라도 해당 기업지분의 51% 이상만 보유하고 나머지를 매각하면 소유 관련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경연 관계자는 “대주주인 정부의 보유지분을 매각해 공기업 부채를 줄이면서도 수익성과 효율성을 함께 높이는 방안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nykim@ilyoseoul.co.kr
김나영 기자 nykim@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