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여론조사전화·문자메시지 휴유증…무차별 발송해 유권자 피해속출
[일요서울 | 전북 고봉석 기자] 최근 6·4지방선거를 앞두고 각종 여론조사전화와 후보자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로 인해 유권자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늦은 저녁시간에 무차별적으로 걸려오는 선거 여론조사전화는 휴식시간을 방해하고 일찍 잠드는 유권자의 수면권을 방해,곤혹을 치르고 있다.
전주시민들에 따르면 최근 지방선거를 앞두고 부쩍 늘어난 여론조사전화로 인해 업무에 지장을 받고 있음은 물론 사생활 침해까지 받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전주시민 이모씨(49·전주시 덕진구)는“시도 때도없이 걸려오는 여론조사전화로 인해 업무에 막대한 지장을 받고 있다.”라며“선관위에서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유권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모씨는 또“운전중에 후보자 지지도 여론조사 전화를 받다가 사고가 날뻔했다”며“휴대전화 밸소리만 울려도 노이로제에 걸릴지경이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뿐만아니라 선거 사무실 개소식 문자, 지지를 호소하는 문자, 상대 후보를 비난하는 문자 등 하루에 4~10통씩 들어와 문자를 삭제하느라 애를 먹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7일부터 9일사이에 전북도내 자치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후보 경선때는 하루에 10여통씩 문자가 들어와 유권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유권자 김모씨(51·전주시 완산구)는 “2G 핸드폰은 저장 용량이 적어 후보자들이 장문의 컬러메일 문자를 보내게 되면 저장 공간이 없어 정작 중요한 다른 문자 메시지를 열어 볼 수 없다”며“무조건 보내고 보자는 후보자들의 이기적인 생각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후보자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대량의 문자를 발송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뿐만 아니라 일면식도 없는데 어떻게 자신의 휴대폰번호와 집, 사무실번호를 알게 됐는지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도 공존케 하고 있다.
하지만 공직선거법상 이를 규제할 근거가 없어 뾰족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어서 지방선거가 끝날때까지는 선거관련 문자공해에 유권자들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 연출될 전망이다.
전북도 선관위 관계자는 “공직선거법상 저촉이 되지않아 현재로서는 어떻게 규제할 방법이 없다”라며“선관위에도 유권자들이 선거 여론조사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항의성 전화를 하면서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하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