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환경단체 낙동강 녹조현상놓고 공방 가열
[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낙동강 일대 녹조현상을 두고 대구시와 환경단체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낙동강 취수원에서 발생한 녹조 현상과 관련해 “일사량 증가와 수온상승 등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상수원의 조류 농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시민들이 마시는 수돗물안전에는 전혀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
대구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17일 녹조 측정 결과 낙동강 문산·매곡취수장 상수 원수의 조류농도는 9.4~9.8mg/㎥로 남조류 개체 수는 70~100 cells/㎖로 각각 조사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녹조가 확산될 경우 조류물질(클로로필-a 등) 검사를 매일 실시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을 강화해 조류에 따른 독성과 맛, 냄새 물질을 100% 제거할 방침”이라며“조류가 대량 발생할 때 강정고령보 방류량을 증가토록 요청하고 상수원에 황토를 뿌릴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환경운동연합측은 “대구시의 수돗물 안전 주장은 무책임하고 부실하다”며 반박했다.
특히 “대구시가 제시한 기준은 수질예보제 기준으로 낙동강 강정보는 지금 수질예보제가 아니라 조류경보제를 시행하고 있다”며“조류농도 측정치는 장소와 시간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만큼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제시한 수치는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구시가 대구 정수장은 고도정수처리시설이 돼 있어서 먹는 물 안전에도 이상이 없다 한 것은 행정의 편의적인 발상에 불과하다”면서 “고도정수 처리하는데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은 다름 아닌 대구시민의 혈세가 추가로 충당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해마다 되풀이되는 녹조대란을 막기위해서는 낙동강에 설치된 보의 수문을 상시적으로 열어 강물을 흐르게 해야 한다”며 “대구시는 낙동강 보의 수문을 즉각 개방하도록 정부 등에 적극 건의하라”고 촉구했다.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