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사초실종 게이트 vs 국가기록원 게이트 정쟁 가열

2013-07-22     고동석 기자

[일요서울|고동석 기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기록원에 최종 검색에 나선 여야 열람위원들은 22일 대화록 원본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성남 국가기록원을 나흘째 방문한 새누리당 황진하 조명철, 민주당 박남춘 전해철 의원 등 열람위원 4명은 마지막으로 NLL 대화록을 검색했으나 결국 발견하지 못했다고 양당 관계자들이 전했다.

이 결과는 이날 오후 3시 국회에서 열리는 운영위원회에 열람위원들이 '대화록 실종'을 공식 보고할 것으로 전해졌다.

대화록 확보에 실패하면서 여야 간 책임공방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은 대화록 실종을 사초(私草) 실종 게이트로 규정하고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수사권이 없는 국회에서 검색 기간을 연장한다 해서 성과를 기대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국민적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크다사초가 없어진 중대 사태이기 때문에 검찰 수사 등을 통해 경위 자체를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재철 최고위원 역시 민주당은 '이명박 정권이 없애지 않았느냐'라고 하는데 보관 및 접근방식을 보면 가능성이 없는 억지떼쓰기용이라고 지적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대화록이 정상적으로 이관되지 않았다면 관계 당국이 철저한 수사를 통해 경위를 명백히 밝히고 책임자를 엄히 문책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반면 민주당은 국가기록원 게이트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과 대통령기록관장에 대한 고소, 고발 등으로 맞불을 놓았다.

민주당 신경민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참석해 문서실종사태, 기록관게이트를 소모적 정쟁으로 폄하하는 세력이 있고 민주당이 문서실종으로 어려워졌다고 비틀어 보려는 세력도 있지만 이번 기록관게이트를 보면 NLL 음모 작전의 뿌리가 깊고 넓고 오래됐음을 실증했다고 이명박 전 대통령과 서상시 정보위원장, 정문헌 의원에 대해 고소 고발로 맞받아쳤다.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