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국제고와 국제통상고 설립 물건너 가나
[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대구교육청을 비롯, 북구와 달서구 등 기초자치단체등이 학수고대하고 있는 국제고와 국제통상고 설립이 늦춰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교육청을 비롯 자치단체등의 힘이 빠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초 자치단체간의 경쟁을 거쳐 북구와 달서구가 교육특구로 지정된 후 북구는 국제고, 달서구는 국제통상고를 설립해 각각 구발전의 중심축으로 삼겠다는 게 당초 목표였다. 국제고는 2015년. 국제통상고는 2016년 개교해 글로벌시대에 맞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것.
하지만 정부의 어정쩡한 태도와 예산배정 제외 등으로 학교설립작업이 지지부진하게 됐다.
교육부는 지난 2일 `교육국제화 특구육성종합계획안`을 확정 발표하면서 학교설립 예산을 빼버렸다. 교육부안은 대구 인천 여수 등 지난해 교육특구로 지정된 도시에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초중고 각 1곳이상을 지정, 시범운영을 해 본 후 성과가 있다고 판단되면 학교설립을 해준다는 게 핵심이다.
이 같은 내용의 교육부안이 발표되자 대구교육청과 북구, 달서구 등은 `답답하다`는 반응을 쏟아냈다.
교육특구를 지정해놓고 알멩이는 쏙 빼버려 로드맵을 다시 짜야 하는 등 힘이 빠진다는 것.
대구 북구는 국제고 설립을 위해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부지를 도시계획상 학교부지로 선정하는 등 나름대로 준비를 해왔다.
북구 관계자는 “낙후된 북구를 도약시키기 위해 교육특구지정에 맞춰 초ㆍ중등학교는 교육청과, 산업인력, 고등교육은 관내 대학교와 함께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을 세워놓았는데 이런 소식이 들려와 힘이 빠진다”고 하소연했다. 하지만 “예산이 없는 기초자치단체로서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 안타깝다”고 했다.
달서구도 맥이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달서구는 당초 국제통상고를 개교하기로 하고 지난달 교육부에서 설명회를 여는 등 교육특구를 염두에 두고 준비를 해왔으나 교육부의 이번조치로 국제통상고 설립마저 불투명하게 됐다는 반응이다.
달서구 관계자는 “아직 교육부로부터 공문을 받은것도 아니고 언론보도자료 내용만 알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분위기상 국제통상고설립이 늦춰질 것으로 보여 힘이 빠지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대구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발표안은 일단 교육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부분을 먼저 활성화시켜 안정되고 나서 학교설립을 하자는 것”이라며 “당초계획보다는 늦어지겠지만 지속적으로 추진해 특구사업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