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내전역 그물망식 CC TV 통합관제시스템 구축한다
[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대구시가 ‘안전도시’를 주창하면서 올해부터 2015년까지 시내 전역에 그물망식 CC(폐쇄회로)TV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대구에도 이른바 ‘빅 브라더(Big Brother)’ 시대가 성큼 다가온 셈이다.
대구시는 올해 우선적으로 동·중·달서구지역에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서·남·북구는 내년에 추진하기로 했다. 이들 6개 기초단체의 통합관제시스템은 한 곳에 모으기로 했다. 한 곳에 시설을 집적하면 그만큼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합관제센터 부지로는 지난해 달서구의 정부합동청사로 이전한 공공기관 후적지 6곳 중 한 곳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구시는 현재 이들 후적지 부지를 시유지인 국립대구박물관 부지와 맞교환하는 것을 정부와 협상 중이다.
지리적으로 떨어진 달성군은 2015년에 별도 통합관제센터를 세우기로 했다. 달성군은 논공읍 군청사 내에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할 작정이다. 수성구는 이미 2011년부터 통합관제센터를 가동 중이다.
이들 통합관제센터 구축 사업비는 대략 100억 원으로 추산되며, 국비와 지방비 분담 비율은 50%이다. 지방비는 다시 대구시와 7개 기초단체가 절반씩 부담하고, 대구시교육청도 일정 예산을 보탠다.
통합관제센터는 지역 내 방범용, 학교안전용, 불법행위 단속용 CCTV를 모두 연결, 관제요원이 한곳에서 24시간 모니터링을 하는 곳이다. 범죄예방뿐 아니라 쓰레기 무단투기, 재난관리, 청소년 계도에도 적잖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대구시는 내다봤다.
대구시는 지난해 9월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 최근 7개 기초단체와 경찰, 대구시교육청과 협의를 마쳤다. 특히 기초단체는 관제센터 구축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열악한 재정 때문에 망설여 왔다. 구축 사업비만 각 기초단체가 최소 2억~3억 원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구시가 통합관제센터 구축이 시급하다고 보고 총대를 멨다. 안전행정부가 범죄사고 예방차원에서 각 지자체에 통합관제센터 운영을 권장한 영향도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가 안전도시를 추구하지만 CCTV설치는 타 도시에 뒤처졌다는 의견이 많아 추진하게 됐다”며 “장기적으로는 수성구와 달성군의 통합관제센터도 한 곳에서 통제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사업 추진에 대한 우려도 크다. 연간 운영비 마련과 정규직 전문인력 확보, CCTV 증가분을 감안한 공간 확보 때문이다.
일단 연간 운영비 마련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다. 현재 대구에서 유일하게 운영되는 수성구 통합관제센터의 경우, 연간 운영비만 12억 원에 육박한다. 매년 대구시교육청이 일부(4억8000만 원)를 보태고 있지만, 나머지는 수성구청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이에 최근 경기도는 통합관제센터 운영비 일부를 국비로 지원해 달라는 건의문을 안전행정부에 전달한 바 있다.
관제인력의 전문화도 요구된다. 현재 수성구 통합관제센터 관제인력 36명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다. 1년마다 계약하는 형식이어서 중도에 인력이 자주 바뀌어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에선 정규직 채용을 권고하지만 총액 인건비 제한 때문에 비정규직으로 채워지고 있는 것이다.
수성구 통합관제센터는 출범 초기 666대 CCTV를 모니터링했지만 현재는 844대로 늘어났다. 추가설비를 들여놓고 싶어도 현재 공간이 포화상태다. 이 같은 운영사례는 시내 전 지역 관장의 통합관제센터를 추진하고 있는 대구시가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할 대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일단 시작이 중요하다. 대구시가 통합관제센터 내 각종 시설구비 비용을 지원해 기초단체의 부담을 최대한 덜어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