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창업지원 대폭확대 4단계 성장단계별 맞춤시스템 구축
[일요서울 | 김종현 기자] 경험과 자금부족 등으로 창업을 미뤘거나 창업에 실패한 시민들을 위해 서울시가 창업지원에 나선다.
서울시는 지난 21일 다양한 교육으로 성공적인 창업과 창업 후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2013년 서울시 창업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창업을 희망하는 모든 시민에게 창업지원을 확대하고 생계형 창업에 대해서도 다양한 정보와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실패기업에 대한 재창업을 지원해 창업생존율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기존의 단편적 지원에서 벗어나 창업정보제공·창업교육·기업지원·기업성장지원 등의 ‘4단계 성장단계별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집중 지원하는 기업도 지난해(1900개 팀)보다 1.5배 늘어난 2770개 팀으로 확대했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우선 창업정보시스템을 연계하고 상담과 컨설팅을 강화, 창업정보 제공 채널 다양화 등을 통해 창업 준비부터 실체 창업까지 원스톱으로 준비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 시 창업센터에 입주하지 않은 시민들에게도 법률·세무·경영·무역·디자인 등 6개 분야 상담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창업교육은 교육의 일원화와 모바일 교육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수요자 중심의 맞춤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교육과정을 일반과정, 업종별 창업교육인 기존과정, 전문과정으로 통일했다. 더불어 시민들이 장소나 시간에 구애 받지 않도록 ‘모바일 창업교육’을 신설한다. 오는 6월말까지 총 100여 개의 창업교육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는 창업기업 지원을 위해 창업지원 대상을 지난해 1900개에서 올해는 청년·장년창업센터 입주기업(1960개)을 비롯해 역외기업(200개), 예비창업기업(610개)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창업지원 센터를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캠퍼스 CEO도 모집해 단계적인 인큐베이팅을 펼치기로 했다.
창업 이후 기업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투자와 유통채널 발굴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인터넷 쇼핑몰, 방송 입점 등을 지원하고 오는 5월에는 명동에 꿈꾸는 청년가게 2호점, 지하철역 등에 청년창업 제품 박스숍 등을 설치해 판로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창업실패자를 위한 재창업 프로그램도 대폭 확대한다. 시는 재창업 준비자(20~39세) 100명을 선발해 실패원인 분석 및 개인별 맞춤 재창업 설계를 지원하기로 했다.
최동윤 서울시 경제진흥실장은 “그동안 창업정보 부족으로 개인사업자의 60% 이상이 서비스업·소비업·음식업에 편중돼 있어 유사업종 경쟁으로 인한 성공률이 매우 낮은 편이었다”면서 “창업지원계획을 통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맞춤형 창업 지원 등으로 시민 누구나 창업을 꿈꾸고 도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