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경찰, 조폭 ‘표적수사’로 지역경제 휘청

경찰, ‘정보수집 위해 해당 지역 업소 상대로 공갈 및 협박 일삼아 논란’

2012-10-18     수도권 취재본부 최원만 기자

[일요서울 | 수도권 취재본부 최원만 기자] 경기도 평택경찰서가 평택지역 조직폭력배에 대한 단속에 나서면서 업소 및 상가 등을 대상으로 권력(?)을 휘둘러 지역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인근 업소 등을 상대로 조폭 정보를 수집키 위해 ‘표적수사’는 물론 강압적인 수사를 펼쳐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의 발길은 뚝 끊긴 상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가게를 운영하는 상인들은 “경찰의 무언(無言)의 협박으로 손님이 없어 가게 문을 닫아야 하는지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중”이라며 불만을 쏟아냈다.

18일 평택경찰과 주민 등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8월부터 평택시 포승공단 인근 지역의 조직폭력배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며 조폭에 대한 정보를 수집키 위해 지역 내 상가 등을 상대로 한 강압적 수사로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경찰은 특정인에 대한 조직원 범죄활동을 캐기 위해 유흥업소와 식당 등을 돌며 ‘건축법 위반’과 ‘세금폭탄’ 등의 협박을 일삼아 상인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 상태다. 경찰은 또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노래방 도우미 공급처를 대상으로 조폭 범법행위에 대한 정보를 캐면서, 이들 공급처의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 무마 조건을 협상 조건으로 던졌다.

현재까지도 경찰은 이 일대 조폭으로 활동했던 특정인 A씨를 상대로 한 첩보 활동의 일환으로 내사를 진행하면서, A씨와 관계를 맺은 업소와 식당 등을 돌며 강압수사를 멈추지 않아 물의를 빚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공단 인근 지역을 돌며, 유흥업소를 상대로 한 성매매 등의 혐의를 파헤치겠다며 공갈 및 협박을 일삼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상인 B씨 등은 “경찰이 A씨에 대한 정보 수집 차원에서 여러 업소를 돌며 온갖 업소들의 약점을 들추며 협박하는 등 A씨에 대한 문제점이 없음에도 사건을 조작하려는 행동 등을 일삼고 있다”면서 “오후 시간이 되면 경찰들이 조직적으로 공단 인근으로 활개를 치며 각 업소들의 불법 등을 감시해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긴지 이미 오래다”고 말했다.

이어 “가게에 손님이 없어 지금 현재 가게를 계속 운영해야 하는지, 아니면 경찰의 수사를 그대로 보고만 있어야 하는 것인지 속이 터지기 직전”이라며 “이 같은 내용을 갖고 경찰 청문감사관실이나 청와대 등에 민원을 올려도 해결이 안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렇게 언론에 도움을 요청하게 됐다”고 했다.

상황이 이렇자 A씨는 경찰을 상대로 한 전화 통화에서 “나에 대한 경찰의 여러 혐의가 있다면 나 스스로 경찰서를 찾아가 조사를 받을 것이며, 내가 알던 평소 지인들을 왜 괴롭히는지 그만해 줬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전달했었다”면서 “하지만 경찰은 그럴 필요도 없고 경찰서를 찾아올 필요도 없다는 뜻을 밝혔었다”고 전했다.

공단에서 업소를 운영하는 C씨는 “A씨와 인과관계 때문에 경찰이 가게로 찾아와, 제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유흥 윤락은 물론 가게 건축물에 대한 문제점으로 조사해 장부압수 및 세금을 부과시키겠다는 협박을 해왔다”며 “경찰은 말을 듣지 않는다며 이날 한 숙박업소에서 나오는 가게 도우미를 촬영해 성매매 등의 혐의로 협박을 했고, 또 공단 인근 업소를 돌며 각 업소에 비치된 직원 명부 등을 확인하면서 온갖 공갈 및 협박을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C씨는 또 “경찰의 실적위주의 인사체계 때문에 이 같은 경찰의 강압적인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말은 들었지만 헌법이 있는 대한민국이 이렇게 운영되면 안 된다”면서 “경찰이 무서워 가게도 운영하지 못하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과연 이명박 대통령이나 경찰청장, 국회의원 등은 알고 있는지 궁금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cwm@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