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오산시 구내식당 '곰팡이 백화점'
오산시 ‘일반인들 식당 이용 안 된다’ 방침 세워, 지역민 반발
그동안 시는 식자재 공급업체와 계약도 체결치 않고 유통기한도 없는 식자재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빚자, 식당을 이용하는 외부 방문객들의 책임으로 돌렸다. <일요서울 인터넷 8월27일>
결국 시 공무원들의 ‘치부’를 엉뚱하게도 시민들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긴 꼴이다.
실제로 지난 21·22일에는 을지훈련과 태풍 등의 영향으로 식당 이용객이 늘자, 밥이 없어 배를 곯는 직원은 물론 외부에서 시청을 찾은 시민들까지 생겼었다.
자치행정과 이찬호 과장은 “구내식당은 시청 직원을 위한 공간으로 직원만을 위한 식당으로 새롭게 운영하는 방식을 준비 중”이라며 “앞서 문제가 된 음식물배상책임보험 등은 인근 보험회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식자재 공급업체에 대한 현장실사 등을 다녀와 식당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가 식당 운영에 대한 근본적 문제점을 파악치 못해 공무원 ‘철밥통’이란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셈이다.
시는 지난 14년 동안 식자재 공급업체와 계약도 체결치 않고 물품을 공급받았고, 식자재 단가에 대한 결정도 무기 계약직 영양사 몫으로 돌려놨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해 시가 내놓은 해결책은 간단하다.
우선 음식물에 대한 보험 가입을 자체적으로 마련해 추진했고 식당 종사자들에 대한 친절교육을, 또 조리실 일반인 출입에 대한 제한 등으로 개선책을 내놨다.
그러나 식당 운영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책은 마련치 못했다. 식자재 공급업체와 계약은커녕 식자재 공급 단가에 대한 대책도 없다. 기존 식당 운영에 대한 차별화는 없는 셈이다.
이에 대해 김순본 교육후생팀장은 “업체 계약이나 식자재 공급 단가의 경우 수시로 문제점에 대한 확인으로 식당 운영을 정상화에 올려놓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음식물 공급에 대한 보험 등의 문제점 대책을 마련했기 때문에 더 이상 아무런 문제점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시민 최모(58·신장동)씨는 “구내식당을 운영하는 시 공무원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시민들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꼴”이라며 “이번에도 근본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없어 시민들은 오히려 오산시 행정에 대한 불신만이 쌓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시 한 관계자는 “식당을 찾는 외부 방문객들의 경우 현장에서 영양사로부터 직접 현찰로 식권을 구입하기 때문에 이 비용에 대한 시 회계처리가 어렵다”면서 “현찰 식권 구입에 대한 시 수입 부분의 분명한 조사가 꼭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