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올림픽을 대하는 與-野의 경선전략
경선잡음 줄여줄 방패막 vs 올림픽 이후 흥행집중
[일요서울ㅣ정찬대 기자]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대선후보 경선일정을 발표했다. 양당 모두 런던올림픽(7월27~8월12일)을 피해 경선흥행에 집중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올림픽을 대하는 여야의 대선후보 경선 전략은 차이를 보였다.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대선후보로 확정될 것으로 보이는 새누리당은 후보경선 기간과 올림픽 기간이 맞물려 사실상 ‘조용한 추대식’이 예고되고 있다. 애당초 국민적 흥행을 몰고 오지 못할 바엔 모든 관심이 올림픽에 집중됐을 때 당내 경선을 치름으로써 조용히 묻어가는 쪽을 택한 것이다.
결국 지난 5.15전대에서 ‘친박 지도부’가 구성됐던 상황과 비슷한 분위기가 연출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 입장에선 올림픽이 경선 잡음을 줄여줄 또 다른 기회가 됐다. 그러나 이것이 박 전 위원장에게 유리할 지는 아직 미지수다.
반면, 다양한 후보군이 이름을 올리며 대선후보 경선출마를 선언한 민주통합당은 그야말로 대선경선 흥행조짐을 보이며 분위기를 달구고 있다. 그런 점에서 경선일정도 올림픽을 최대한 피해 진행하도록 했다. 더욱이 민주통합당 대선경선준비기획단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은 6명 이상의 후보자가 출마할 시 1차 컷오프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면서 분위기는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런던올림픽, ‘박근혜 추대’ 방패막 되다
새누리당은 지난달 25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현행 당헌·당규대로 대선 120일 전인 8월 20일에 대선후보를 확정하기로 의결했다. 비박(비박근혜)계의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요구를 일언지하에 거절한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과 ‘친박 지도부’가 결국 ‘마이웨이’를 선택한 것이다.
‘비박 3인방’ 김문수, 정몽준, 이재오 등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지 않을 시 경선에 불참하겠다고 밝힌 만큼 당내에선 박 전 비대위원장의 대선후보 추대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다음달 21일부터 30일까지 선거운동을 실시한다. 전국 권역별 합동연설회는 12차례 진행되지만, 전국 순회경선은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27일 진행된 당 경선관리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새누리당은 ‘2(대의원) 대 3(당원) 대 3(국민선거인단) 대 2(여론조사)’의 현 선거인단 구성 비율을 그대로 따르기로 하고, 전국 순회 경선도 치르지 않기로 결의했다.
신성범 경선관리위원회 대변인은 순회경선과 관련해 “야당이 권역별 경선을 한다고 해서 압박감이 없지 않았지만, 당헌에 전국 동시 실시라는 규정이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민주, 잇따른 출마선언... 흥행 과열조짐
민주통합당은 유력 대권주자들의 잇따른 출마선언으로 야권의 대권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 대선경선준비기획단은 지난 3일 전체회의에서 9월23일 전대를 통해 최종 후보를 결정짓겠다고 밝혔다.
민주통합당은 올림픽이 끝나는 다음달 25일부터 전국 순회경선을 실시한 뒤 9월 23일 최종 후보를 확정한다. 여기에 경선후보가 6명이 넘을 경우 본경선 전인 7월 말 예비경선을 실시해 후보를 5명으로 압축할 예정이다.
정치권에서는 민주통합당의 후보경선 일정을 두고 올림픽으로 인한 흥행반감을 최소화하고 추석 전 대선 후보를 확정함으로써 추석 차례상에 이를 올려놓도록 스케줄을 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선 후보가 확정된 뒤 곧바로 명절이 이어진다는 점은 ‘컨벤션 효과’(전당대회나 경선을 치른 직후 지지율이 상승하는 현상)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후보 지지율 상승에 대한 기대감까지 낳고 있다.
지난달 28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한 이해찬 대표는 “올림픽 기간에는 경선을 해도 국민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다”며 “어떻게든 추석 직전인 25일엔 대선 후보를 확정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앞서 언급된 올림픽 변수와 추석명절을 적절히 활용하겠다는 계산이다.
새누리-민주, 후보경선 누가 유리할까?
새누리당과 달리 민주통합당은 다양한 후보군이 대선출마를 선언하면서 흥행전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경선과정에서 각 후보에 대한 비방전이 과열될 수 있어 서로에게 적잖은 상처를 남길 수 있다. 여기에 경선 막판 후보 간 합종연횡이 예상되면서 국민들에게 대선후보 경선이 구태로 비칠 수 있다는 점도 마이너스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은 흥미 없는 경선과 ‘박근혜 추대’에 대한 비판여론이 작용할 가능성 높다. 본선은 무난하게 치르더라도 이에 따른 비판도 함께 감수해야한다. 박 전 비대위원장이 ‘소신의 정치’에서 ‘불통의 정치’를 펴고 있다는 지적은 이를 잘 방증한다. 여기에 비박계의 행보도 초미의 관심사다. 이미 정몽준 의원은 지난달 28일 관훈클럽 대선주자 토론회에서 “대선 때 박 전 비대위원장을 돕지 않겠다”고 밝혔다.
민주통합당은 여러 변수가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를 자극한다. 특히 민주통합당 후보경선 이후 전개될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 성사여부는 대선 판 전체를 뒤흔들 수 있는 ‘최대 변수’라는 점에서 정치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경선과정에서 무질서한 모습이 연출될 경우 국민들로 하여금 자칫 ‘아마추어’라는 인상을 받을 수 있는 점은 정권탈환을 꿈꾸는 제1야당으로서 가장 경계해야할 부분이다.
‘박근혜 추대’에 대한 국민적 비판을 비켜가기 위해 올림픽 기간 중 대선후보 경선일정을 선택한 새누리당과 올림픽 이후 흥행에 집중하겠다는 민주통합당이 12월 본선 경기를 앞두고 상반되는 전략을 구사한 가운데 어떤 선택이 결과적으로 각 진영에게 유리하게 작용될지는 후보경선 이후 국민들의 선택에 따라 갈리게 됐다.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