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운송 거부차량 증가 추세
국토부, ‘파업 장기화’ 대비 비상수송 대책 마련
26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25일 정오 기준으로 275대였던 운송 거부 차량은 같은날 22시 기준 1767대로 늘어나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인천항, 부산항 등 전국 주요 물류 거점지역 13곳의 화물차량 1140대의 약 15.8%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날 파업 출정식 참여 추산 인원인 약 1800명과 비슷한 수치다.
전국 주요 물류 거점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25일 22시 기준으로 전일 같은 시간 대비 8548TEU 감소한 4만1906TEU를 기록해 평상시의 57.7%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주요 물류 거점의 컨테이너 장치율(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비율)은 44.2%로 평상시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항만 운영은 정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오는 주말까지 화물연대 파업의 확산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고 상황을 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국토부는 25일 오후 국방부에 군위탁 컨테이너 차량을 요청해 26일 안으로 부산항, 의왕 ICD(내륙컨테이너 기지), 광양항 등에 총 100대를 투입해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화물열차도 운행횟수를 늘려 25일에는 평상시 대비 11.7%(29회) 늘어난 277회 운행했다.
이밖에 운송 거부가 장기화될 것에 대비해 자가용화물차 유상운송 허용, 운행차량 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야드 트랙터의 항만 외 운행 등의 비상수송 대책도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반면 국토부는 화물 운송 거부차량에 대해 6개월 동안 유가보조금 지급정지를 실시할 것을 각 시도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무역협회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본부와 국내지부를 통해 접수된 운송차질 규모가 25일 오후 6시 기준으로 16개사, 42억 원으로 파악됐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