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비 향상(기름 값 절약), 환경 보호 ‘에코 드라이버’ 되는 방법
2012-05-31 이창환 기자
[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 서울시가 타이어 교체비용, 수리비, 유지보수비 등을 절약하며, 연료 소비도 10% 줄일 수 있고,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여 안전한 ‘운전문화’를 확산시키는 ‘녹색운전운동’ 정착을 추진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친환경 경제운전(에코드라이브)의 10가지 방법을 안내하고, 자동차 운전습관 교정을 통한 운전습관의 변화로 에너지 소비를 10% 줄일 수 있는 것은 1인당 연간 36만 원 정도의 절약효과를 가져온다고 밝혔다.
-연비 10% 향상, 연료 182L 절감, 1인당 36만 원 절약 효과
(연간 20,000km 주행, 연비10km/L, 1L당 2,000원 기준)
-온실가스 10% 감축, 소나무 84그루 심는 효과로 온난화 대응
-교통사고 발생 40% 감소, 교통사고 비용 5조6천억 감소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에너지 고갈 위기를 극복하고, 비용 절감도 되는 친환경 경제운전(Eco-Drive) 10가지는 다음과 같다.
1.경제속도 준수하기
-승용차는 경제속도인 시속 60~80km로 주행할 때 연비 최적화
-60km/h시 20.4km/L → 120km/h 15.1km/L, 연비 25% 저하(경기공업대학, 10.11)
2.3급(급출발, 급가속, 급감속) 하지 않기
-출발할 때 처음 5초동안 시속 20km/h까지 천천히 가속
-급출발을 10번 하면 100cc의 연료 낭비
-급가속하면 연료소모 30% 이상, 오염물질 50% 이상 증가
3.불필요한 공회전은 그만
-시동 후 워밍업은 최소, 공회전 10분 줄이면 168cc의 연료 절약
-장시간 대기 중이거나 짐을 싣고 내릴 때는 엔진을 끄는 습관이 중요
수도권 도심도로 24곳 주행시간의 1/4이 공회전 시간(자동차시민연합, 10.5~9)
4.정차 시, 신호대기시 기어는 중립으로
-중립모드(N)으로 전환하면 구동모드(D)에서보다 연료소비 30% 이상 절감
-중립모드에서 10분간 121cc 연료 소모, 구동모드는 161cc 연료 소모
5.주행 중, 에어컨 사용 줄이기
-오르막길이나 체증이 심한 시내 주행 시에는 에어컨 작동이 엔진에 부담되므로 가능한 에어컨 사용을 줄이는 것이 좋음
-에어컨 사용시에는 오토모드 보다는 실내 온도를 최대한 빨리 낮춘 후 On/Off 반복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에어컨 단계별 작동시 1단계마다 오염물질은 1km당 평균 0.08g 증가하고, 연료 소비효율은 평균 4.9%감소함)
6.자동차를 가볍게, 트렁크 비우기
-불필요한 짐 10kg을 싣고 하루 50km를 주행하면 80cc의 연료가 낭비됩니다
-적재 중량이 증가 할수록 연료소비가 증가하여 연비는 저하되고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7.정보운전의 생활화 하기
-인터넷, 교통방송, 라디오, 내비게이션 등을 이용한 최적경로 정보운전 생활화
-정체운전을 피해 운전했을 때의 효과(교통환경연구소, 10.2)
(정체시간 운전 : 주행거리 10km 시속 5km로 2시간 운행한 경우 3.6ℓ 연료소비)
(정체시간 외 운전 : 주행거리 10km 시속 20km로 30분 운행한 경우 1.6ℓ 연료소비)
8.언덕길에서는 관성운전
-언덕길 진입 전에 차량속도를 높이고 언덕길 진입 시 탄력주행 하는 것이 정속 주행하여 통과하는 것에 비해 연료 소비가 적고 빠르게 통과할 수 있음
-내리막길에서는 자동차의 연료 차단기능(Fuel cut)을 활용하여 관성운전하면 약 20%의 연료가 절감되며 오염물질이 감소됨
(연료차단기능(Fuel cut)은 대부분의 자동차에 내장되어 있으며, 일정 엔진회전수(rpm) 이상에서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뗄 경우 연료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
9.한 달에 한번 자동차를 점검, 정비하는 센스
-1달에 한번 정기적으로 타이어 공기압과 에어클리너 점검
-엔진오일 등 배출가스 관련 부품은 교환주기를 준수
-타이어는 사용 후 3개월이 지날 때마다 연비 1% 악화
10. 유사연료, 무인증 첨가제 사용하지 않기
-유사연료를 사용할 경우 차량에 무리를 주고 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미침
-불량휘발유를 사용시 정상휘발유 사용시보다 CO, HC, NOx의 오염물질 총량은 16.3% 증가, 연비는 7.4% 감소
2010년 7월부터 현재까지 5570명의 시내버스 운전기사에 대한 에코드라이브 교육을 진행하였고, 2014년까지 전체 운전자 1만6600명에 대한 교육을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