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탈북자 31명 ‘강제북송’ 파장 확산 조짐
유엔인권이사회 열리기 전 북송돼…반기문 “깊은 우려”
9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월8일~12일 공안이 체포한 탈북자 31명을 지난달부터 북송했다고 전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한국에 직계가족이 있고 5세 어린이와 노인 등도 포함돼 있다.
지난달 8일 중국 선양에서 체포된 탈북자 10명은 현재 북한 평북 신의주 국가안전보위부로 이송됐고 옌지 등지에 수감돼 있던 탈북자들도 이미 송환돼 함경북도 보위부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내 여러 소식통들은 “북송된 탈북자들은 숙청을 당하고 있다”며 “탈북자 가족은 물론이고 탈북을 도움 사람들의 일가족까지 모두 체포돼 보위부에서 취조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이는 중국이 탈북자 명단을 곧바로 북한에 통보해 가능했던 일”이라고 풀이했다.
북송 날짜에 대해선 정보가 엇갈린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24일을 시작으로 수 차례 나눠 북송됐다는 소식과 선양에 수감됐던 탈북자 10명은 이달 6일에 북송됐다는 정보도 흘러나오고 있는 것.
다만 이같이 강제 북송중단 여론이 최고조에 달한 시점에 즉각 북송한 점은 이례적이다. 과거 중국 정부당국은 체포된 탈북자 문제가 불거지면 최대 6개월까지 수감하면서 여론이 잦아들기를 기다려 북송시킨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 인근 식당에서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오찬을 갖고 “한국 정부와 깊은 우려를 공유한다며 탈북자들의 신변에 대한 국제적 기분과 인도적 고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유엔은 관련 당사국들이 요청하는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강제 북송 중단을 요구하며 단식투쟁 중인 박선영 자유선진당 의원은 지난 8일 “중국 정부가 유엔인권이사회가 열리는 오는 12일 전에 탈북자들을 모두 북송하려 한다”며 “한국 국회대표단이 유엔인권이사회를 방문해 이 문제를 국제 이슈화하기 전에 북송을 마치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탈북자 북송 저지’에 소극적인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에 대해 “입만 벌리면 인권을 이야기하면서 탈북자 인권에는 침묵하는 시대착오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비판했다.
한편 외교통상부는 “탈북자 북송은 금시초문”이라며 “중국이 탈북자의 체포나 북송 등에 대해 한국 정부에 일절 확인해 주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오는 12일 유엔인권이사회에서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보고관이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보고할 때 토론을 통해 탈북자의 강제북송 금지를 재차 촉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