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디도스 경찰 수사 '청와대 외압설' 논란

靑김효재 정무수석-조현오 청장 두 차례 전화통화 파문

2011-12-19     고동석 기자

청와대가 경찰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DDoS) 공격 사건 발표를 늦추려 했던 것도 부족해 수사 내용을 축소 왜곡하려고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경찰이 디도스 공격사건을 수사할 당시 청와대 김효재 정무수석이 조현오 경찰청장과 전화통화를 한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 수석은 이 전화통화에서 디도스 공격 전날 주모자 공씨가 청와대의 박모 행정관, 박희태 국회의장실 전 의전비서 김모 씨 등과 1차 식사 모임 때 있었는지를 물었고, 몇 시간 뒤 다시 전화를 걸어 디도스 공격 전후로 사건 관련자들 사이에 1억 원의 금전 거래가 있었는지를 확인했다는 것이다. 

김 수석과의 전화 통화 후 조 청장은 황운하 수사기획관 등 수사팀을 불러 “왜 청와대에 먼저 보고를 하느냐”고 크게 질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디도스 공격 사건에 대해 청와대의 외압설이 흘러나왔고 조 청장은 당시 김 수석이 '걱정된다'는 취지로 말한 건 사실이지만, 수사 결과 발표 때 금전 거래 부분을 빼라는 등의 외압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또 김 수석은  “디도스 사건과 관련해 어떠한 영향력도 행사한 바가 없다”며 강력 부인하고 있다.

최동해 청와대 치안비서관은 “수사 진행상황 보고는 통상 절차대로 받았으나 압력을 행사한 적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야권은 청와대 기획설에 이어 외압설까지 국정조사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외압설과 관련해 민주통합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1차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국판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 원내대표는 “2040세대의 참정권 행사 방해 목적의 테러는 그 자체만으로도 민주주의 파괴 및 헌정질서 파괴 행위”라고 “워터게이트 사건도 도청보다는 정권의 거짓말, 부도덕성이 더 큰 문제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청와대는 억대의 돈이 오간 사실을 보고받은 시점과 청와대 행정관이 1차 술자리 연루 사실을 밝힌 이후 김효재 정무수석이 조현오 경찰청장에게 전화를 한 이유와 통화 내용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도 박근혜 비상대책위 출범을 앞두고 엄정하고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며 청와대와 선긋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가 이날 전국위원회에서 비대위원장에 임명되면 우선적으로 디도스 사태로 무너진 여권의 신뢰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재오 의원도 자신의 트위터로 “왜 하필 1억원을 범행 전후에 주고받았을까. 검찰은 성역 없이 수사해 정치검찰 오명을 벗으라”고 엄정한 수사를 주문했다.


 

<고동석 기자>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