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정원 선관위 디도스 공격 처음부터 인지”

여권 내부서 조직적 은폐 시도 의혹 제기

2011-12-06     고동석 기자

10.26 보궐선거 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테러 사건을 국가정보원이 처음부터 인지하고 있고 있었다는 주장에 제기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은 6일 “국정원이 사건을 초기부터 인지했음에도 이에 대한 일말의 해명도 없다”며 국정원이 개입된 조직적인 은폐 의혹을 주장하고 나섰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일부 언론에서도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선관위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에 대해 국정원이 인지했다는 사실이 언급됐지만 최구식 의원실 개입과 관련해서는 어떤 해명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정원에 이번 사건에 대해 문의를 했지만 모른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면서 국정원에 정부 기관의 홈페이지 등 전산 보안을 관제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이 있기에 조직적인 은폐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그러나 선거 당일 국정원은 선관위 홈피 디도스 공격을 가장 먼저 인지했다는 주장에 부인도 시인도 아닌 답변을 회피하고 있다.


이에 박영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국정원 사이버안전센터는 (디도스 공격을 실행에 옮긴) 강 모씨 일당이 강행한 범죄를 퇴치시킬 수 있는 충분한 능력과 시간이 있었음에도 투표 당일 2시간 동안 방치했다”고 했다.


국회 정보위 소속 한 의원은 초보적 수준의 디도스 공격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국정원은 범죄자들의 신병 확보 이전에 그들이 누구인지 사건 발생 이후 며칠 내 파악을 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국정원이 인지한 것을 여권도 이미 디도스 공격을 감행한 범인들이 누구였는지 알고 있었고, 국정원이 아닌 경찰의 중간발표로 터져나온 것은 여권이 디도스 공격의 실체적 진실을 의도적으로 은폐하려 했다는 흔적이 다분하다는 것이 민주당의 주장이다.


민주당은 “선관위 내부 소행에 대해 무게를 두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 여당 내 누군가가 이번 사건을 배후에서 조종하고 있다는 의심은 지울 수 없다”며 사건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여권이 애초에 조직적으로 디도스 공격을 전개하고 고의적으로 은폐 시도까지 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