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특집 ④] ‘코로나 백신’ 공급·안전성 문제 없나
아직도 불투명한 ‘도입 시기’와 ‘물량’
[일요서울 | 조택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상황 때문에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벌써 미국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접종이 실행되고 있기 때문. 국내에는 언제쯤 들어올지, 어떤 백신이 공급될지, 부작용은 없을지 등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얀센‧화이자 ‘이달 중’, 모더나는 ‘내년 1월’ 백신 계약 목표···안전보다 속도?
전 세계가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물밑에서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미국 등 해외 선진국들에서는 속속 백신 접종을 시작한 가운데, 한국은 백신 없는 겨울을 보내게 된 모양새다.
‘K-방역’을 내세우며 자화자찬을 이어갔던 정부가 정작 코로나19 극복의 핵심 격인 백신 확보에는 ‘한 발 뒤처져 있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정확한 일정이나 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앞서 정부는 백신 공동구매를 위한 국제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000만 명분, 글로벌 제약사와의 개별 협상으로 3400만 명분 등 총 4400만 명분(국민의 88%)을 “사실상 확보했다”고 밝혔으나 계약이 마무리된 곳은 그나마 아스트라제네카 한 군데(1000만 명분) 정도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미국 식품의약국(이하 FDA) 사용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이며, 도입 시기도 일러야 내년 2~3월 정도로 전망된다.
FDA의 사용 승인이 늦어지면서 국내 도입이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자 정부는 “FDA 승인 여부와 관계없이 우리 결정에 따르겠다”고 강조했다. FDA 승인 여부와 상관없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백신은 ‘속도’보다 ‘안전’이 중요하다는 과거 입장과는 다른 발표인 셈이다.
3400만 명분은 아직 도입 시기가 불투명한 상태다. 코백스 퍼실리티 1000만 명분은 어떤 업체의 어떤 제품이 공급될지 구체화되지 않았으며, 화이자 1000만 명분, 모더나 1000만 명분, 얀센 400만 명분은 여전히 협상 중인 상태다.
이후 정부는 18일 코로나19 백신 확보 현황 및 예방접종 계획안을 발표했는데, 여전히 도입 시기와 물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이날 정부는 “코백스 퍼실리티와는 내년 1월 중 구체적인 물량과 제공 시기 등을 협의하고, 개별기업 관련 얀센‧화이자는 12월, 모더나는 내년 1월을 목표로 계약 체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물량의 도입 시기와 관련해서는 “1분기(2~3월)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공급이 순차적으로 될 것이라 밝히면서도 “국가 간 백신 확보 경쟁, 공급 시기에 따른 국가 간 형평성 등의 사유로 기업들이 비공개를 요청했다”며 “구체적인 공급시기‧일정은 공개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백신 도입이 해외에 비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유효성,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백신을 불가피하게 선구매해야 하는 등 불확실성 높은 상황에서 구매 협상을 진행했다”며 “최대한 공급 시기를 앞당기는 노력을 지속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밝힌 내용을 되풀이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전문가들은 백신의 도입 절차, 안전성 등을 고려했을 때 정부가 FDA 승인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등의 섣부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더불어 정부의 주장대로 과연 2~3월에 백신을 들여올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의견도 지속적으로 나오는 상황이다.
한편 코로나19 백신 관련, 국민들이 ‘빠른 접종’ 보다는 ‘안전한 접종’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전국 성인 1110명을 대상으로 조사‧발표한 ‘코로나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5.8%는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채 성급히 접종이 추진되는 것이 두렵다’고 답했다. ‘백신 접종이 다른 나라들보다 늦게 이뤄질 것이 두렵다’는 비율은 이보다 낮은 35.7%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