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의 강경화 비난에, 외교부는 “방역 협력 강조 취지”

2020-12-11     온라인뉴스팀

 

[일요서울]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북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관련 발언을 ‘망언’이라고 비난하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김 부부장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지난 9일 발표한 8일자 담화에서 “남조선 외교부 장관 강경화가 중동 행각 중에 우리의 비상방역 조치들에 대하여 주제넘은 평을 하며 내뱉은 말들을 보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들었다”며 “앞뒤 계산도 없이 망언을 쏟는 것을 보면 얼어붙은 북남관계에 더더욱 스산한 냉기를 불어오고 싶어 몸살을 앓는 모야”이라고 비꼬았다. 김 부부장은 “속심이 빤히 들여다보인다”며 “정확히 들었으니 우리는 두고두고 기억할 것이고 아마도 정확히 계산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강 장관은 지난 5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초청으로 바레인에서 열린 마나마 대화 제1세션 ‘코로나 팬데믹 글로벌 거버넌스’에 참석해 한 연설에서 북한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북한이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지원 제안에 반응하지 않고 있다”며 “이 도전(코로나19)이 북한을 더욱 북한답게 만들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연설에서 북한이 확진자가 없다고 주장하면서도 코로나19를 통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것은 조금 이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부장은 북한의 정치인이자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생이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자식들 중 막내이다. 그는 현재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 수석 부부장, 당 정치국 후보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북한 정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일성 직계 자손’으로, 비록 공식 직함은 그리 높은 자리라 볼 수 없지만 왕조 사회적인 측면이 강한 북한의 특성상 최고지도자와 피를 나눈 사이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권력 2인자라 봐도 무방한 위치에 있다고 분석된다. 

김 위원장 시대 들어 조선중앙방송이나 노동신문이 이전보다는 세련되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엔 그의 역할이 크다고 한다. 물론 선전 매체로서의 역할을 버렸다는 것은 아니다. 어릴적 김 위원장과 함께 스위스에 유학한 그는 북한으로 돌아와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김 전 국방위원장 장례식 때 본격적인 모습을 드러냈다. 2012년 11월19일엔 김 위원장과 고모 김경희와 함께 북한군 기병대를 방문하여 말을 타고 달리는 모습이 북한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방영되어, 상당한 권력을 갖고 있다는 점이 암시됐다. 또한 2012년에 국방위원회 행사과장이 됐다고 알려졌다. 2014년 3월9일엔 북한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김 위원장의 수행자로 나서면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특히 당시 김 위원장의 최측근이었던 최룡해, 김경옥, 황병서,와 동행하며 정치적 위상을 나타냈다. 또한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격인 조선노동당 서기실장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6월엔 그의 명의로 낸 담화문에서 대북삐라살포를 맹비난하며 남한 정부를 비방했다. 그리고 지난 6월16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지난 8월20일 현재 김 위원장을 대신해 북한을 위임통치 하고 있다고 국정원이 발표했다. 

한편 강 장관은 한국 최초 여성 외교부장관이다. 그는 1955년 태어난 이화여자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외교통상부 당시 홍순영 장관의 보좌관으로 특채된 그는 3년간 김대중 대통령의 통역사로 활동했다. 이후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재임 중이던 2006년,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OHCHR) 부판무관이 된다. 2009년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부대표로 활동했다. 2013년 3월18일엔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사무차장보에 임명됐다. 2017년 5월21일 문재인 정부는 그를 외교부 장관으로 지명했고 청문회를 거쳐 2017년 6월18일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가 한국의 대처에 대해 궁금해 했고, 외교부 장관으로서 공식적으로 한국의 대응 경험을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해외 유력 매체들의 인터뷰도 여러 차례 진행됐다. 독일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확진자들의 사생활 이슈를 상당히 부각시켰는데, 이에 대해 그는 기본적으로는 사생활이 중요한 인권이라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절대적인 인권은 아니라면서, 법적인 절차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제한된 사생활이 공개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