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다크웹 추적’ 시스템 구축…본격 도입
[일요서울] 경찰이 다크웹상 불법정보 추적 체계를 마련해 디지털 성범죄와 마약 수사에 실제 활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향후에는 보안과 국제범죄수사 분야까지 적용 범주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5월 중순부터 다크웹 불법정보 추적시스템(Dint·딘트)을 구축하고 수사 현장에서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
'딘트'는 다크웹 추적을 위한 일원화된 창구 개념의 분석 체계다. 딘트는 수사관이 개별 다크웹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불법정보를 분석·정리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로 기능한다고 경찰청은 설명했다.
그간 다크웹 분석은 수사관이 다크웹에 일일이 방문해 정보를 수집한 뒤 이를 정리해 수사 단서 등으로 활용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딘트 도입 이후에는 한 창구에서 다방면의 분석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경찰 측 설명이다.
다크웹은 익명성이 보장되고 추적이 어렵도록 고안된 인터넷 영역이다. 운영자, 이용자를 찾기 어려워 아동 성착취물 유통 또는 마약 거래 등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일례로 다크웹은 텔레그램 'n번방'이나 '웰컴투비디오' 등 최근 사회적 공분을 산 성착취물 유통 사건과 관련한 유입 등 경로 가운데 하나로 언급됐으며, 지난해 SK·현대 3세의 대마 거래 관련 통로로도 지목됐다.
경찰은 다크웹이 이같은 불법행위들의 주요 경로로 활용된다고 판단, 딘트를 구축해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수사 현장에 적용했다고 한다. 다만 적용 시차 등이 있어 이번 n번방 등 사건 처리에 직접 적용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딘트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수사 기능과 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마약수사대 등에서 활용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향후에는 보안수사와 국제범죄수사 분야까지 딘트 적용 범주를 확대해한다는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향후에는 디지털 성범죄나 마약 수사 이외에 다크웹상의 총기, 테러 정보 등 분야까지 추적하는 체계를 마련하려고 한다"며 "수사·보안·외사 기능이 머리를 맞대고 선제적 대응 방안을 고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