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군, 천연기념물 ‘하늘다람쥐·큰소쩍새’ 야산서 발견
- 천연기념물 제328호 멸종위기종 야생생물 2급 하늘다람쥐 - 천연기념물 제324호 지정·관리되는 큰소쩍새는 육추중...
[일요서울ㅣ함평 조광태 기자] 전남 함평군은 13일 지난달 초 한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32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하늘다람쥐와 큰소쩍새가 잇따라 발견됐다고 했다.
흔히 날다람쥐라고 불리는 하늘다람쥐는 다람쥣과 동물로,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 주로 분포하며, 몸길이는 약 15∼20㎝로 머리는 둥글고 눈이 매우 크며, 날개와 유사한 피막이 있어 30m까지 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산림 개발이 덜 진행된 강원도 백두대간에서 주로 발견되는 등 산림 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어 발견된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큰소쩍새도 비슷한 시기에 발견됐는데, 이재원 함평생태관광협회 사무국장이 4월 중순경 야산에서 생태관찰을 하던 중 둥지에서 육추(새끼를 돌보는 일) 중인 큰소쩍새를 발견했다.
큰소쩍새는 일반 소쩍새와 겉모습은 비슷하나, 목 뒤를 가로질러 두 줄의 테가 있고 다리와 발은 발가락이 시작되는 부위까지 털이 덮여 있으며, 눈의 홍채가 붉은 것도 특징이다.
올빼미과로 분류되는 큰소쩍새는 약 20~25cm 되는 몸길이를 갖고 있으며 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흔한 텃새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번식지와 서식지 의 파괴 등으로 1980년대 이후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원 함평생태관광협회 사무국장은 “천연기념물인 하늘다람쥐와 큰소쩍새가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 자체로 함평의 청정한 자연환경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함평이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야생생물의 보고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지원과 지역민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큰소쩍새와 하늘다람쥐는 1982년 천연기념물 제324호․제328호로 각각 지정 됐으며, 특히 하늘다람쥐는 지난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보호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