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진보·개혁 시민단체 비례정당 참여 여부 전당원 모바일 투표 통해 결정”

2020-03-09     온라인뉴스팀

[일요서울] 더불어민주당이 8일 진보·개혁 시민단체들이 주축이 돼 꾸려지는 비례대표용 연합정당 창당 참여 여부를 다음 주께 전당원 모바일 투표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논쟁적인 사안임을 고려, 오랜 논의 과정을 거쳐 가닥을 잡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3시간 가까이 진행한 결과 이 같이 결정했다고 강훈식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비례 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플랫폼을 통해 전당원 투표를 통한 의견 수렴으로 결정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투표는 다음 주 중 실시될 계획이며 참여 여부 결정도 같은 주께 정해질 것으로 강 수석대변인은 전망했다.

당원 투표를 통해 참여 향방을 결정키로 한 배경에 관해서는 “사안의 중대성과 무게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래통합당의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지만 이에 대한 비판여론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이날 최고위에서는 비례 연합정당 참여 여부에 대해 지도부 간 이견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강 수석대변인은 “다른 의견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런 것들도 조정하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아시겠지만 사안이 무겁고 중요해서 의견이 통일돼 있지 않다”며 “이견이 당연히 일정 정도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한 의견이나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전당원 투표를) 결정했다”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참여 여부에 관해 숙고를 거치는 이유는 이를 두고 당 안팎에서 비례 위성정당과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이날 회의에선 ‘비례 위성정당을 만드는 것과 비례 연합정당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구분돼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됐다. 이에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강 수석대변인은 ‘전당원 투표에 대해 최고위원들이 모두 합의했느냐’고 묻자 “거의 수렴이 됐다”며 “사안의 중대성은 최고위원들이 다 인식한 것으로 이해한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날 정봉주 전 의원이 주도한 ‘열린민주당’ 창당이 전당원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그렇게 디테일하게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즉답을 피했다.

한편 정의당은 비례 연합정당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이날 전국위원회를 개최해 “비례 연합정당에 참여하지 않고 정의당의 길을 꿋꿋히 가겠다”는 내용의 특별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강 수석대변인은 “제가 평가할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당의 결정”이라며 “저희는 저희의 결정을 한 것”이라고 표명했다.

그러나 “정의당이 무엇 때문에 그런 것인지 봐야 된다. (의석을) 더 많이 얻으려는 것인지”라면서 “우리는 적어도 더 많이 얻으려는 건 아니다. 한 석이라도 더 얻을 생각은 없다는 컨센서스는 이뤄졌다”라고 부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