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신종 cv 감염증 대비 주말에도 만전

- 1일 정부 점검회의 및 시군 영상회의 개최… 총력 대응 위해 격상 - 정부에 이동식 엑스레이 지원, 철도역사 열화상카메라 비치 등 건의 - 중국인 유학생 입국 대비 대응계획, 외국인 음식점 관리방안 등 논의 - 김경수 지사 “음성 판정자도 지속 관리” 질본 기준보다 높은 수준 대응 지시

2020-02-02     이형균 기자

[일요서울ㅣ창원 이형균 기자] 경상남도가 주말에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을 이어간다.

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1일 오전, 영상회의실에서 정부 대응상황 점검회의와 시ㆍ군 부단체장 화상회의를 잇달아 진행하며 대비태세를 점검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진행된 회의에서 박성호 행정부지사는 “선별진료소를 운영 중인 민간병원에 이동식 엑스레이 촬영장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요청했다. 해당 내용은 김경수 도지사와 박 부지사가 전날(31일) 선별진료소를 운영 중인 마산의료원과 마산보건소, 진주경상대학교병원 등을 방문했을 때 공통으로 접수된 현장의 요청사항이다.

또한 박 부지사는 “코레일이 관리하는 철도역사 같이 지방정부가 아닌 다른 운영주체가 있는 다중 이용시설에 열화상 카메라가 비치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관리해줄 것”과 “우한 교민들의 격리 종료 후 연고지 이동에 대비한 관리방안”을 건의하기도 했다.

열화상 카메라와 관련해 도는 시ㆍ군과 함께 자체예산으로 설치를 계획하는 한편, 더 신속하고 원활한 대응을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과 관리를 요청한 것이다.

정부 회의 종료 후에는 18개 시군과 화상으로 연결해 도내 상황을 공유하고 대책 논의를 이어갔다. 도 통합교육추진단은 개강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고국 방문 후 입국에 대비해 대학들과 관리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도내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은 총 809명이다.

식품의약과는 도내 외국인 전용 혹은 외국인이 다수 이용하는 음식점 348곳을 파악했으며, 손소독제를 제공해 감염의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김경수 지사는 이날 아침 박성호 행정부지사에게 “조사결과 음성판정을 받은 사람들도 잠복기인 14일간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등 관리하라”고 지시했다. 질병관리본부 지침에 따른 관리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도 자체적으로 한 단계 높은 수준의 대처를 주문한 것이다.

도는 이에 따라 음성판정에 따른 격리해제자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나가면서 시ㆍ군과는 별도로 도 차원에서도 유선 모니터링을 실시, 2중 감시 시행으로 자가격리 및 능동감시자에 대한 촘촘한 감시를 시행했다.

한편, 전날 중국 우한 입국자 17명에 대해 도에서 직접 자택을 방문해 대면조사를 완료했다. 전화 모니터링에 그치지 않고 건강상태를 직접 확인한 것이다.

국내에서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고 수도권 외 지역, 2ㆍ3차 감염 등의 사례가 확인됨에 따라 도는 주말에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무엇보다 의심 증세가 있을 때 개별 의료기관을 찾지 말고 보건소나 ☎1339, ☎119(경남소방본부)에 전화해 상담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방과 대처, 선별진료소 정보는 도 홈페이지와 SNS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