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시 '청년자율예산' 278억…수당·월세지원
[일요서울ㅣ장휘경 기자] 청년들이 청년정책을 스스로 기획·설계해 제안하고 실제 예산 편성까지 주도하는 서울시 첫 '청년자율예산'이 32개 사업, 총 278억원으로 새해예산에 반영됐다. 내년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청년자율예산은 '서울청년시민위원'가 주도했다. 지난 3월 전국 최초의 '청년자치정부' 출범과 동시에 서울청년시민위원 총 1211명이 활동에 들어갔다.
32개 사업은 지난 7개월간 숙의·토론·공론화·조율을 거쳐 서울시에 제안, 담당 공무원들과의 의견교환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됐다.
청년들에게 미래를 준비할 시간을 벌어줘 사회 진입을 앞둔 청년들의 출발선을 보장하는 '청년수당 규모화 사업', 1인 가구 청년에게 월세를 지원하는 '서울형 청년 주거지 지원 사업', '청년 마음 신체 건강 지원' 등이 최종 사업에 포함됐다.
청년들의 관심사인 환경, 평등과 다양성 존중 이슈가 반영된 사업들도 있다. 환경을 생각한 폐현수막 재활용수거용 마대 확산 사업과 나눔카 전기차 활성화 지원 사업,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 확산을 위한 채식하기 편한 환경 조성, 문화 다양성 이해교육 운영, 배리어프리 서울을 위한 농인의 의사소통 지원서비스 확대 사업 등이다.
서울청년의회는 예산은 들지 않지만 기존 제도나 정책을 개선하는 비예산사업도 '더 나은 미래를 위한 7대 제안과제'로 도출, 시에 제안했다. 내년에는 토론회나 포럼 등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한 7대 제안과제는 ▲새로운 노동이 존중 받는 서울 ▲1인가구도 행복한 서울 ▲청년이 건강한 서울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서울 ▲다양한 가족을 구성할 수 있는 서울 ▲차별과 혐오가 없는 서울 ▲청년의 참여로 변화하는 서울의 미래 등이다.
시는 내년엔 청년거버넌스와 청년사업의 기반을 자치구 단위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자치구 청년거버넌스 구축 및 활성화 지원사업을 새롭게 시작하고 16개 자치구와 서울시 자치구 청년정책 공동포럼을 공동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시는 이날 오후 6시30분 상암 월드컵경기장 리셉션홀에서 청년자치정부 출범 첫 해 성과를 돌아보는 '제4회 서울청년시민회의'를 연다. 회의에서는 청년 당사자가 정책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거버넌스 과정과 권한을 보장하기 위한 '서울특별시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조례' 제정이 논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