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 요직 두루 포진… “이제는 실세”
2005-12-13 홍성철
이른바 민청학련 세대로 분류되고 있는 당시 관계자중 상당수는 민주화 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왔고, 또 적지 않은 인사들은 정치권에 진입했다. 하지만 정치권에 뛰어든 민청학련 세대는 위로는 6·3세대에 가려졌고, 아래로는 386세대 후배들이 치고 올라와 큰 역할을 담당하지 못했던게 사실이다.하지만 참여정부 출범이후 민청학련 세대는 그야말로 정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이들 세대의 핵심 인사인 이해찬 의원은 실세 총리로 자리매김했고, 청와대에는 민청학력 사건으로 복역한 황인성 시민사회수석이 자리잡고 있다. 또 이강철씨와 정찬용씨는 각각 현정부들어 청와대 시민사회수석과 인사수석을 지냈다.
정치권 인사로는 열린우리당 유인태 장영달 이미경 원혜영 이호응 강창일 의원과 한나라당 김문수 박계동 이재웅 의원 등이 실세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민청학련 사건의 배후조종 혐의를 받았던 김근태·손학규씨는 각각 보건복지부 장관과 경기도지사직을 맡아 차기 대권주자로 분류되고 있고, 여권의 또다른 대권주자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이 사건과 관련해 옥고를 치른 바 있다.이 밖에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은 바 있는 이철씨는 철도공사 사장으로 재직중이고,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 김효순 한겨레신문 전무, 서경석 선진화정책운동 공동대표 등도 대표적인 민청학련 세대다.7일 국정원 과거사위 조사결과를 접한 이들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역사적 진실은 영원히 은폐될 수 없다는 평범한 진실을 확인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이날 국회에서 브리핑을 가진 유인태 의원은 “87년 6월 민주항쟁 후 얼마 안 있어 진상이 밝혀질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너무 오래 걸렸다”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